- "지난주부터 실무협의…남북경협 등 조치 취할것"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인 송민순 외교통상부 차관보는 29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실천방안을 모색하고 조만간 실무선에서 협의를 시작하려 한다”면서 “본격적인 남북경협 추진 및 북한의 개혁개발 촉진을 지원하는 조치도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송 차관보는 이날 이해찬 국무총리 주재로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열린 ‘중앙언론사 논설실장 간담회’에서 “핵폐기와 상응조치관련 구체적 방안과 순서 등 이행방안을 준비해 관련국들과 10월중에 협의할 예정”이라며 이같이 말하고 “지난주부터 실무적으로 협의에 들어갔다”덧붙였다. 송 차관보는 이와 함께 “올 11월 부산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에는 6자회담 관련국 5개국이 모이는 만큼 관련국들과 6자회담 진전기류가 계속되도록 정상차원에서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해찬 국무총리도 이 자리에서 “양자간 관계들이 몇 분야에서 진도가 나가고 있는 것 같다”면서 “일본은 북일수교를 놓고 실무적인 접촉을 해나가고 있고 미국도 북미관계 정상화를 위한 내부검토가 진행되고 있는 등 각 나라들이 북한이 국제사회에 복귀하고 개혁개방으로 전환하는 것을 전제로 한 활동이 벌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총리는 또 "(제네바회담과 달리) 이번에는 6자회담이라는 다자회담의 틀로서 안정적인 구조를 만들어내고 또 북미, 북일, 남북간에 쌍무적인 후속논의가 이뤄질 수 있는 그런 틀이 만들어 진 것이 큰 의미가 있다"면서 "그래서 (11월 예정인) 회담에서는 좀 더 진전된 이행계획서를 만들어 낼 수 있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전망한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이번이야 말로 한반도 평화체제의 중요한 전기가 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역사적인 맥락에서 오고 있는 것같다”면서 “한반도 평화, 동북아 평화체제가 들어서지 않고서는 우리의 경제활동, 그 외의 다른 면에서 굉장히 소모를 겪고 있기 때문에 이런 기회를 통해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체제를 만들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도 “6자회담 결과를 이행합의로 만들어내는 작업과 지난 6월부터 8월까지 남북관계의 진전을 굳히면서 새로운 차원으로 발전시켜가는 것들이 속도감있게 전개되고 있다”며 “경수로 제공문제와 적절한 시점에 대한 논쟁은 바꿔 말하면 나머지 무수한 난제들이 가닥이 잡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정 장관은 또 “핵문제가 최악의 상황으로 가면 북만 망하는 게 아니라 남쪽 경제도 망가진다는 점에서 결국 한배를 탄 한반도 경제이고 남북경제는 공동운명체”라면서 경수로 등에 들어가는 비용은 북방경제를 위한 선투자 개념 즉 남북경제운명공동체를 개척하기 위한 개척비용임을 재차 강조하면서 국민들의 이해를 당부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