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미국, 중국 3개국이 31일 베이징에서 수석대표 회동을 갖고 1년 가까이 중단돼온 6자회담을 빠른 시일 내에 다시 열기로 합의함에 따라 북핵 문제 해결의 돌파구가 마련됐다. 6자회담은 이르면 11월 재개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6자회담 재개 합의는 중국의 적극적인 중재로 이뤄졌으며 우리 정부가 마련한 공동의 포괄적 접근방안을 북ㆍ미ㆍ중 3국에 전달함으로써 회동이 성사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중국 외교부는 이날 "중국 측의 건의에 따라 중.북.미 3국의 6자회담 수석대표들이 베이징에서 비공식 회동을 갖고 6자회담 참여국들이 편리한, 빠른 시일 내에 회담을 연다는데 합의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중국 외교부는 3국 수석대표들이 "6자회담의 계속적인 추진 문제에 대해 솔직하고 깊이 있게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동은 김계관 북한 외무성 부상,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아시아ㆍ태평양 담당 차관보, 우다웨이(武大偉) 중국 외교부 부부장 등 3국 수석대표들이 참석했다. 6자 회담은 지난해 9월 제4차 회담에서 9·19 공동성명을 채택했으나, 같은 해 11월 5차 1단계 회담 이후 1년동안 열리지 못했다. 회담 재개 시기와 관련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차관보는 회동 후 중국 베이징 주재 미국대사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3국의 6자회담 조기 재개 합의 사실을 확인하고 "6개국이 합의할 경우 이르면 11월이나 12월에 회담이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고 주요 외신들이 전했다. 힐 차관보는 또 “북한은 6자회담 전제조건을 제시하지 않았으며 6자회담에서 양보가 이뤄질 경우 9.19공동성명에서 한 핵무기 폐기 약속을 준수하겠다고 약속했다”고 전했다. 그는 "우리는 북한이 반대하고 있는 미국과 중국의 금융제재 문제를 처리하기 위한 실무 메커니즘을 만들어야 한다"며 "회담이 재개되면 미국의 금융제재에 대한 북한의 우려를 다루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북한 핵실험 이후 중국은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의 특사로 탕자쉬안(唐家璇) 국무위원을 미국, 러시아, 북한에 파견, 중재외교를 펼쳐 왔다. 한편 정부 당국자는 이번 협의와 관련 “우리가 마련한 공동의 포괄적 접근방안을 미ㆍ북ㆍ중 3국에 전달함으로써 이번 회동이 성사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