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들에 대한 학대 행위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노인학대의 주요 원인이 가족 구성원 간 갈등인 것으로 나타나 노인학대의 심각성이 더해지고 있다. 보건복지가족부와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이 9일 발간한 ‘2007년 전국 노인학대상담사업 현황보고서’에 따르면, 2007년 한 해 동안 노인보호전문기관에 접수된 노인학대신고는 4,730건으로 2006년에 비해 18.4% 증가했으며, 그 중 학대로 확증된 사례는 2,312건으로 전년도보다 1.7% 늘었다. 학대 행위자는 가족과 친·인척 등 친족이 10명 중 9명꼴인 89.8%를 차지했다. 아들이 53.1%로 가장 많았고, 며느리(12.4%), 딸(11.9%), 배우자(7.6%) 순으로 학대를 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60세 이상 노인이 자신보다 나이가 더 많은 노인을 학대하는 ‘노-노(老-老) 학대’ 사례도 전체의 20.5%를 차지, 전년보다 32.2% 급증했다. 이는 우리 사회의 ‘저출산 고령화’ 현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학대 발생의 주된 원인은 피해자와 학대행위자 사이의 갈등을 포함한 가족구성원간의 갈등이 88.2%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51.5%가 피해 노인과 가해자간 갈등이었고 37.1%는 피해 노인의 자녀, 형제, 친·인척간 갈등인 것으로 집계됐다. 학대 유형별로는 언어·정서적 학대가 41.4%로 가장 많았고 방임이 24.7%, 신체적 학대 19.4%, 재정적 학대 11.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가족부는 노인학대 증가의 심각성을 인식해 내년 중 전국 노인학대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노인보호전문기관도 매년 확충할 계획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