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당 평균 47.5시간 근무...여가시간도 부족
우리나라의 직장인들이 많이 지친 것으로 조사됐다. 초과근무가 많아 개인 여가시간이 부족한 탓이다.삼성경제연구소가 지난해 임금 근로자 554명을 조사한 결과 한국 직장인의 주당 평균 근무시간은 평균 47.5시간. 여기에 과반수는 연간 외박이나 휴가일수가 10일 미만이었다.연구소는 19일 제5차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심포지엄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한국인의 여가활동과 삶의 만족도’을 발표하면서 “법정근로시간의 단축에도 불구하고 한국 직장인은 초과근무가 많아 여기시간의 양이 불충분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실제 2006년 현재 한국인의 연평균 근로시간은 2305시간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평균 보다 1.3배나 많았다. 세계 1위인 한국직장인의 연평균 근로시간은 2∼3위인 체코나 헝가리에 비해 무려 300여 시간이나 차이가 났다. 짬을 내 쓰는 여가생활의 수준도 바닥이었다. TV·DVD·비디오 시청이 압도적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인터넷·컴퓨터·음악청취·전화수다·독서 순이었다.특히 남성 직장인의 절반 이상은 매일 또는 일주일에 몇 차례 이상 술을 마시고, 여성 직장인의 3분의 2는 전화로 수다를 떠는 것으로 나타났다.아이가 있는 직장인의 경우 아이 돌보기가 여가생활의 주요 제약요소였다. 또 이날 심포지엄에선 남자는 나이를 먹으면 마른 체형이기를 원하고 있지만 여자는 남성이 다소 살찐 체형이기를 원한다는 내용도 발표돼 주목을 받았다. 도시규모에 따른 만족도에서는 큰 도시에 사는 사람들이 시골마을보다 덜 행복하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