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규모의 외국인 R&D 투자가 신약 개발에 이뤄진다. 변재진 보건복지부 차관과 제프 킨들러 화이자 본사 회장은 13일 오전 화이자가 2012년까지 신약개발 및 보건의료 기반기술 연구에 3억 달러를 투자하고 이를 위해 보건복지부와 상호 협력하기로 합의하는 내용의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는 지금까지 한국이 유치한 외국인 R&D 투자 중 최고액의 3배에 달하는 것으로 최대 규모다. 우리나라 보건복지부 R&D예산이 1000억원 가량이고 우리나라 전체 보건 R&D 규모가 1조원인 점을 감안하면 이는 상당한 액수다. 보건복지부와 화이자가 협력할 주요내용에 따르면, 양측은 질병연구는 물론 신물질 후보군 발견부터 전임상 및 초기임상연구에서 협력해나갈 계획이다. 또한 후기 임상연구 협력도 대폭 확대해 신약 개발 전과정에 걸친 협력관계를 이뤄나간다. 화이자는 본사 R&D센터에 펠로우십 프로그램 및 국내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마련해 신약개발을 위한 인력 양성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한편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우리나라의 주요대학 등 연구그룹과 진단학 등 의약품 개발 주요 분야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화이자는 또한 신약개발에 산·학·연이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전략적 제휴 한국사무소를 개설해 기술 교류 및 정보 공유도 활성화할 예정이다. 화이자의 이번 투자계획으로 우리나라는 혁신적 의약품 개발에 필요한 노하우를 습득하는 한편, 바이오 및 제약분야에서 획기적인 R&D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R&D 분야에서 고용창출 효과를 거두는 한편 장기적으로 제약산업이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성장할 수 있는 디딤돌을 확보하게 됐다. 변재진 보건복지부 차관은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계기로 국내 보건의료산업과 해외 제약기업이 상호 윈윈해 우리나라 신약개발 역량을 확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제프 킨들러 화이자 사장은 “한국정부와 화이자의 연구개발 협력이 전세계 보건의료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기를 바란다”며 “연구개발 결과로 한국과 전세계 환자들이 더 오래, 더 건겅하게, 더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에 발표한 양해각서는 화이자 본사 R&D 분야 전문가와 최고경영진이 최근 수년동안 여러차례 한국을 방문하고 다각적 검토 끝에 체결됐다. 화이자는 한국 의료진의 우수한 연구능력과 뛰어난 임상연구시설을 높게 평가, 양해각서 체결에 나섰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