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노인 취업을 위해 한자강사, 보육도우미 등의 일자리 11만개가 창출된다. 보건복지부는 올해 노인일자리 사업을 복지형·교육형 일자리 중심으로 개편하고 일자리수도 11만개로 늘린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보다 3만개 늘어난 규모며 복지부는 이를 위해 1610억원(국고 763억원, 지방비 847억원)을 지원한다. 올해는 특히 거리·자연환경 정비 등의 공익형 일자리 비율은 지난해 60%에서 올해는 45%로 줄이는 반면, 노-노케어, 문화재 해설 등의 복지형·교육형 일자리 비율은 25%에서 40%까지 대폭 확대한다. 건강한 노인이 거동이 불편한 노인의 집을 방문해 청소, 빨래 등을 도와주는 '노·노 케어'나 '노인가구 주거환경개선' '독거노인 안전확인' 등의 복지형 일자리는 지난해 8000개에서 올해 2만7500개로 늘어난다. 또 전통예절 교육, 문화재 해설 등의 교육형 일자리와 자립지원형 일자리도 각각 지난해 1만2000개에서 올해 1만6500개로 늘어난다. 자립지원형 일자리는 노인복지관 등이 주체가 돼 특산물 제조·판매, 간병인 파견 등의 사업을 하는 형태를 말한다. 교통질서유지, 방범, 공공시설 관리 등 공익형 일자리는 4만9500개를 지원한다. 복지부는 특히 그동안 일률적으로 적용했던 일자리 참여기간과 임금을 일의 난이도와 생산성 등 일자리의 특성에 따라 참여기간을 7∼10개월, 임금은 20만∼30만원까지 지급할 수 있도록 했다. 일자리를 원하는 노인들은 이달 중 시·군·구나 시니어클럽, 노인복지관 등 사업수행기관을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한국노인인력개발원 홈페이지(http://www.kordi.or.kr)에서도 신청할 수 있다. 65세 이상 노인 중 신체노동이 가능한 건강한 노인(프로그램에 따라 60∼64세도 참여가능)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노인 일자리 사업에 대한 4시간의 기본교육과 각 업무에 관한 직무교육을 4∼20시간 받아야 한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