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3년보다 작년 고교생 GTEC 45점 높아...흥미도·자신감 상급학교 올라갈수록 떨어져
초등학교 때 영어교과를 배운 경험이 있는 고등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영어성적이 훨씬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교육인적자원부는 초등학교 영어교육 도입 10년을 맞아 그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서울대 영어교육과 권오량 교수팀에게 의뢰해 실시한 초등 영어교육 성과분석 연구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연구를 위해 권 교수팀은 2003년의 고등학교 1, 2학년생 총 4043명(5개 고교)의 영어능력시험(GTEC) 성적과 2006년 고등학교 1, 2학년생 총 4019명(같은 5개 고교)의 영어 성적을 비교했다. 2003년의 고교 1, 2학년생은 초등학교 때 영어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들이고 2006년 고교 1, 2학년생은 초등학교 때 영어교육을 받은 학생들이다.읽기, 듣기, 쓰기로 구성돼 800점 만점인 GTEC로 시험을 치르게 한 결과 2006년의 고교 1, 2학년 영어성적 총점 평균(459.6점)이 2003년 고교 1, 2학년 평균(414.5점)보다 45.1점 높게 나왔다. 영역별로도 2006년 학생들(읽기 205.5점, 듣기 187.6점, 쓰기 66.5점)이 2003년 학생들(읽기 190.4점, 듣기 169.7점, 쓰기 54.4점)보다 성적이 좋았다.◆ 흥미도 점점 상실 해결 과제그러나 영어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와 자신감은 상급학교로 진학하면서 오히려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이 부분은 해결돼야 될 과제로 지적됐다. 권 교수팀은 전국 초등생 1510명, 중·고생 4420명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자신의 영어실력이 향상되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중학생은 35.71%가 ‘그렇다’, 고등학생은 23.29%가 ‘그렇다’고 답했고 ‘자신감이 늘었는가’라는 질문에는 중학생 41.35%가 ‘그렇다’, 고등학생은 22.29%만이 ‘그렇다’고 답했다. 영어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와 자신감이 학년이 높아질수록 떨어진 것이다. ◆ 영어교사 1만명 연수 계획교육부는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중등 영어교육을 보다 실용적 방향으로 개선하기 위해 ▲2015년까지 총 1만명 영어교사 연수 ▲영어교사 임용시험 강화 ▲원어민교사 확대 배치 ▲초등 영어연구학교 지정 ▲EBS 영어전용 TV 개국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