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수자비율 대도시가 월등...읍·면은 기초학력도 떨어져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영어 과목에서 대도시와 읍·면 지역 간 학업수준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교육인적자원부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위탁해 지난해 10월 19∼20일 실시한 2005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28일 발표했다.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국가가 정한 교육과정을 학생들이 제대로 따라오고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 매년 실시하는 시험으로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등 5개 교과로 치러진다.평가 결과 전체적으로 대도시 지역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읍·면 지역 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난 가운데 특히 영어 과목에서 대도시와 읍·면 지역 학생 간 차이가 크게 벌어졌다.초등 6학년의 영어 우수학력자 비율이 대도시는 64.7%, 읍·면은 47.6%로 대도시가 훨씬 높았고, 반대로 기초학력 및 기초미달자 비율은 대도시 18.1%, 읍·면 30%로 읍·면이 훨씬 높았다.중학 3학년의 영어 우수학력자 비율은 대도시 22.1%, 읍·면 10.3%, 고교 1학년의 영어 우수학력자 비율은 대도시 14.7%, 읍·면 9.2%였다.영어 평균점수 역시 초등 6학년의 경우 대도시 166.86점, 읍·면 162.63점, 중3의 경우 대도시 261.73점, 읍·면 259.04점, 고1의 경우 대도시 362.57점, 읍·면 358.70점으로 나타났다.교과별 평균점수는 전년도에 비해 전체적으로 약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초등 6학년의 경우 사회, 과학, 영어점수가 전년보다 0.12∼2.89점, 중학교 3학년은 국어, 수학, 과학점수가 전년보다 0.55∼1.21점, 고등학교 1학년의 경우 국어, 수학, 과학, 영어점수가 전년보다 1.05∼2.5점(사회는 전년과 동일)씩 올랐다.성별로 보면 남학생은 주로 사회, 수학, 과학에서 우수학력자 비율이 높았고 여학생은 국어와 영어 과목에서 우수학력자 비율이 높았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