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먹기 사역·성추행 ·나흘만에 자살…해당교도대 대장 암묵적 묵인도
대통령 직속 군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군의문사위)가 12일 밝힌 의문사 2건의 진상을 통해 과거 교도대 및 군내 폭력적 가혹행위의 실태가 적나라하게 드러났다.군의문사위는 이날 1980년대 강원도 제1야전군사령부 소속 야전부대에서 복무 중 사망한 김모(당시 20세·경기도) 하사와 1996년 강원도 모 교도대에서 자살한 박모(당시 21세·서울) 이교(이등병에 해당)가 그동안 알려진 ‘단순 사망’과는 달리 군내 폭력에 의해 사망했다고 발표했다.군의문사위에 따르면 박 이교는 전입 첫날부터 신고식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취침 점호 후 불이 꺼진 내무반에서 선임대원들로부터 욕설과 함께 머리 등을 구타당했다.◆옷 벗기고 애무 거부땐 구타‘먹기 사역’도 있었다. 끼니 때마다 세 명이 먹어야 할 분량의 식사를 선임대원들의 강제에 의해 ‘남기지 않고 깨끗이’ 먹어 치워야 했던 것. 남성들끼리만 생활하는 내무반에서 선임 대원들로부터 성추행도 당했다.군의문사위는 “일부 선임대원들이 후임대원들의 상의를 벗기고 애무 행위를 하거나 성기를 만지는 등 성추행했다”고 설명했다.이를 거부하는 후임대원들에게는 어김없이 구타가 가해졌다. 박 이교는 이 같은 구타와 가혹행위를 견디다 못해 교도대 전입 나흘만인 1996년 10월 22일 투신자살로 생을 마감했다.그러나 교도대 측은 우울증으로 자살한 것으로 처리했다. 또 해당 교도대 중·소대장은 이 같은 가혹행위에 암묵적으로 동의했다는 정황이 드러났다.교도소 관계자가 내무반에 들어와 후임 대원들의 몸에 난 상처를 보고도 “1번, 축구하다 다쳤다. 2번, 감시대에서 굴렀다. 3번, 뛰다가 넘어졌다. 이 중에서 몇 번이냐”고만 물어 사실상 가혹행위를 묵인했다는 지적이다. 강원도 제1야전군사령부 소속 야전부대에서 복무중 사망한 김 하사도 선임인 A하사로부터 주먹으로 가슴을 가격당해 쓰러져 사망했다.그러나 당시 군 당국은 김 하사가 부대 회식 후 잠을 자던 중 구토로 인해 기도가 막혀 질식사했다고 발표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