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찬 총리의 야당 폄하 발언으로 국회는 이틀째 파행을 맞고 있는 가운데 한나라당이 이 총리에 대한 해임결의안에서 더욱 강경해 진 파면요구로 전환한 배경이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나라당이 강경 대응으로 당 방침을 바꾼 것은 자칫 이 총리의 발언에 대한 감정적 대응이라는 지적과 함께 노무현 대통령에게 공을 넘기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특히 신 행정수도 이전 특별법이 헌법재판소에서 위헌 결정을 받고도 이를 추진했던 관련부처 장관들이 책임지는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는데다 법리 공방을 계속하겠다는 의도를 피력하고 있기 때문이다.이 총리의 파면 요구를 함으로서 노 대통령에게 공을 넘겨 노 대통령을 결단을 촉구하는 등 전선을 확대하겠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이 총리를 상대하는 것이 아니라 노 대통령을 직접 상대함으로서 헌재 결정의 당위성 부여와 수도권 이전에 대한 문제점을 부각, 정국의 주도권을 확실히 장악하겠다는 것으로 보인다.국회 일정을 전면 거부하면서 의원들을 지역구 활동을 통해 이 총리의 망언뿐만 아니라 현정권의 실정에 대해 국민에게 홍보를 적극적으로 하는 등 장기투쟁에 대한 명분을 축적하겠다는 것으로 전망된다.이와 함께 그동안 당 운영 및 원내 대책에 대해 불만을 갖고 있는 당내 비 주류 인사들의 요구를 적극 수렴, 당 결속을 도모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특히 국민들이 노무현 정부의 국정운영에 우려를 표시하고 있는데도 야당이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 강경대응을 함으로서 강력한 야당의 이미지를 제고하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