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자이툰부대의 파견 연장과 관련, 김장수 국방부 장관은 30일 “내년 말까지는 민사작전과 평화재건 임무를 종료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히고 “국회에서 결정한 사항은 정부에서 따라야 한다. 그런 차원에서 임무를 종결한 후 후속조치에 따른 계획까지 포함해서 계획을 수립할 것”이라며 “내년에 이라크 정부, 쿠르드 정부, 국민 여론, 현지 정세 등을 입체적으로 판단한 후 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여당이 요구한 철군계획서에 대해서는 “물리적으로 ‘철군’은 이라크 정부와 다국적군과도 협조가 돼야 하고, 우리의 공백을 메울 전력 등에 대한 검토 등 많은 절차가 필요하다”며 “따라서 지금 당장 ‘철군’ 계획서를 작성하는 것은 어렵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정부나 국방부는 정치적, 외교적으로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차원에서 ‘철군’이나 ‘철수’라는 말은 사용하지 않는다”고 이해를 구했다. 국방부는 현재 2300명 수준인 자이툰부대의 규모를 내년 4월까지 1200명 수준으로 감축하는 조건으로 파견 기간을 내년 말까지 1년 연장하는 내용의 동의안을 12월 1일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국방부는 파견 기간 연장이 필요한 이유로 △이라크 정부와 쿠르드 지방정부의 지속적인 재건활동 요청 △우리 기업의 이라크 진출 여건 조성 △한미 동맹 공고화와 한반도 평화안정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꼽았다. 다른 동맹군 정부의 경우 이미 철군 의사를 표명한 이태리 등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 영국, 호주, 루마니아 등 대부분 주요 병력 기여국들은 내년에도 지속적으로 주둔하겠다는 입장이다. 한편 아프가니스탄의 동의ㆍ다산부대는 현재의 병력수준 205명을 유지하는 가운데 내년 말까지 모든 병력을 철수하는 조건으로 파견기간을 1년 연장키로 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