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라이트 계열의 교과서 포럼이 편집한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가 5·16 군사쿠데타를 ‘5·16 혁명’이라고 표현하고 유신체제를 찬양해 논란이 일고 있다.29일 공개된 이 교과서의 최종 편집본에는 또 4·19를 혁명이 아닌 학생운동으로 격하시키고 5·18민주화운동의 의미를 축소하는 한편 전두환 정권을 “발전국가를 계승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등 기존 교과서와는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현재 고등학생용 일반 역사교과서에는 5·16 쿠데타를 ‘5·16 군사정변’으로 기술하고 있다.최종 편집본은 5·16을 “당시 한국 사회의 가장 중요한 국가적 과제인 산업화를 성공적으로 주도할 새로운 대안적 통치집단 등장의 계기가 된 사건”이라고 규정하고 “군사정부는 강한 추진력으로 경제 발전을 성공적으로 주도했다”고 평가했다.◆ 유신체제도 찬양편집본은 또 유신체제를 “권력구조적 차원에서 영도적 권한을 지닌 대통령의 종신 집권을 보장하는 체제인 동시에 행정적 차원에선 국가적 과제 달성을 위한 국가의 자원동원과 집행능력을 크게 제고하는 체제”라고 평가했다.또, 4·19 혁명을 4·19 학생운동으로 표기한 최종 편집본은 “이를 계기로 학생운동이 견제되지 않은 권력으로 등장하고 좌파가 학생운동권을 장악하기 시작했다”고 평가절하했다. 5·18 광주민주화 운동은 5·18 광주민주화 항쟁이라고 표기하고 “한국 사회에 반미급진주의를 확산시키는 계기가 됐다”고 부정적인 의미를 부여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