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31일 미 지명위원회(BGN)가 독도의 영유권 표기를 이전처럼 ‘한국’으로 원상회복한 것과 관련해 “한미동맹 복원과 신뢰회복의 결과”라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공식논평을 통해 이같이 밝힌 뒤 “이례적으로 신속한 조치가 취해진 것은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이 한국민의 정서를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데다 양국 정상간 깊은 신뢰와 우정이 반영된 것으로 본다”고 평가했다. 이에 앞선 30일 오후 6시(미 동부시간) 미 지명위원회는 지난주 ‘미지정 지역(Undesignated Sovereignty)’으로 변경했던 독도의 영유권 표기를 ‘한국(South Korea)’와 ‘공해(Oceans)’로 원상회복했다. 이에 따라 독도는 다시 한국 점유를 나타내는 ‘한국령’으로 표기된다. 다만 독도의 표준명칭은 1977년 7월 14일 채택된 ‘리앙쿠르암(Liancourt Rocks)’으로 사용되고 독도는 리앙쿠르암의 변형어로 다케시마와 함께 지오넷 사이트에 소개된다. 미 지명위원회의 이같은 결정은 부시 미국 대통령이 30일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으로부터 독도 표기 사태 해결방안 검토결과를 보고받은 뒤 원상회복을 지시한데 따른 것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