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와대의 인사검증 및 민원처리 시스템에 큰 구멍이 뚫린 사실이 또 드러났다.
청와대는 지난달 25일 정동채 문화부장관(당시는 내정자)의 교수임용 청탁의혹을 제기한 민원을 접수했는데도 지난 1일 언론에 보도될 때까지 전혀 검증 작업을 하지 않았다. 인사수석실은 지난 30일 정 장관을 임명할 때까지 이 같은 진정서의 존재도 모르고 있었다. 외교부가 김선일씨 피랍 여부를 문의하는 AP통신의 전화를 받고도 묵살한 데 이어 청와대 민원 처리 문제점까지 드러나자 "공직 기강이 땅에 떨어졌다"는 지적마저 나오고 있다. 성균관대 정진수 교수가 ′오지철 문화부차관이 정동채 의원의 부탁이라며 김모씨를 교수로 채용해달라고 청탁했다′는 요지의 진정서를 청와대 홈페이지의 ′신문고′에 접수한 것은 지난달 25일 오후 3시28분. 청와대 김종민 대변인은 "민원제안비서관실이 25일 정 교수의 민원을 접수해 지난 28일 온라인을 통해 민정수석 산하의 사정비서관실로 넘겼다"며 "사정비서관실은 지난 1일 보도가 나올 때까지 그 내용을 체크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민원제안비서관실의 담당 행정관은 지난 25일 또는 지난 26일에 정 교수의 민원을 확인했으나 사정비서관실에 즉각 넘기지 않았다. 민원제안비서관실은 "지난 28일 오후 6시2분 온라인을 통해 사정비서관실로 넘기면서 구두로 알려주지 못했다"고 말했다. 사정비서관실은 3일 후에야 민원내용을 확인했다. 민정수석실 관계자는 "패스워드를 가진 여직원만 접수된 민원을 볼 수 있도록 돼 있는데 2~3일에 한번 열어 볼 뿐"이라면서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다"고 말했다. 김우식 청와대 비서실장은 민원처리 과정의 문제점이 시스템에 있는지, 담당자에 있는지를 조사해 조치하라고 지시했다. 김 실장은 "민원을 중요도에 따라 분류해 보고하지 않은 점과 사정비서관실이 지난 28일 접수된 민원을 즉각 확인하지 않은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청와대 홈페이지 게시판에는 "만일 전쟁이나 테러와 관련된 정보를 접수했더라도 그대로 묵히고 있을 것인가"라는 등 청와대 시스템을 비판하는 글들이 잇달았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