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8년 17세의 어린 나이에 행방불명됐던 김영남(45) 씨가 28일 오후 금강산호텔에서 어머니 최계월(82) 씨를 28년만에 만났다. 김영남 씨는 이날 오후 3시 금강산에서 열린 제14차 이산가족 특별상봉 4회차 행사 중 단체상봉과 만찬상봉을 통해 남측에 있는 어머니 최 씨와 누나 영자(48) 씨를 눈물 속에 상봉했다. 28년 만에 어머니를 만난 영남 씨는 “엄마, 나 맞아, 막내 맞아"라며 “아유, 우리 아들, 아유 우리 아들”이라며 흐느끼기만 하는 어머니 최 씨를 “이 좋은 날 왜 우느냐”고 다독거렸다. 김 씨의 부인 박춘화(31) 씨와 전부인 딸 은경(일명 혜경·19) 양, 아들 철봉(7) 군도 그의 곁에 서서 눈물겨운 모자상봉을 지켜보았다. 영남 씨는 또 “(어머니) 건강하신 모습을 보니 좋구만, 기쁘구만”이라며 여유있는 모습을 보였다. 누나 영자 씨는 영남 씨에게 “어릴 때와 너무 똑같아. 머리카락도, 목소리도”라며 눈물을 흘렸다. 영남 씨는 “이제 죽어도 한이 없다”는 어머니 말에 “오래오래 사셔야지. 막내아들이 이제 효도 좀 할께”라며 위로했다. 이어 누나 영자 씨를 껴안으며 “누나 보고 싶었어”라고 응석을 부리듯 인사했다. 영자 씨는 조카 은경 양에게 “TV로 많이 봤다”며 인사했고 철봉 군에게는 머리를 만지면서 “너네 아버지 어렸을 때 두상이랑 똑같다”고 말했다. 양복을 입은 영남 씨는 어머니 최 씨에게 “막내아들 걱정 많이 했을 텐데, 불효 막심한 아들이 절 드리겠다, 인사드리겠다”면서 큰절을 올렸다. 김일성종합대학에 다니는 흰 저고리에 검은 색 치마차림의 은경 양은 아버지와 할머니의 상봉을 지켜보면서 손수건으로 눈물을 훔쳤고 며느리 박 씨와 철봉 군도 울음을 그치지 못했다. 영남 씨가 큰절을 마친 뒤 부인 박 씨를 가리키며 “막내며느리를 소개할게”라고 말하자 박 씨는 최 씨에게 “평양며느리 절 받으세요”라면서 절을 올렸다. 이어 손자 철봉 군과 손녀 은경 양도 “할머니 김철봉입니다”, “절 받으세요”라며 큰절을 했다. 이날 저녁 열린 만찬상봉에서도 어머니 최 씨는 영남 씨를 보자마자 “우리 아들이야 우리 아들”이라며 주위 사람들에게 자랑했다. 영남 씨는 어머니 눈에 다시 눈물이 고이자 “좋은 날인데 웃어야지”라며 다시 다독였다. 최 씨는 영남 씨가 “엄마 혈압 높아”라고 묻자 “높아, 몇 달 돼”라며 “너 봤으니 죽어도 돼”라며 마냥 행복해했다. 영남 씨는 취재진이 몰려들자 “결국은 누구 말대로 나라가 통일돼, 이런 일이 보통 일 돼야 하는데 특별한 일이 됐어”라고 말했다. 우리측 상봉단장인 한완상 적십자사 총재는 만찬 막바지에 최 씨 모자가 앉은 테이블로 찾아와 인사를 나눴다. 한 총재는 영남 씨에게 “어머님 잘 만났냐. 어미니가 많이 우시더라”고 말을 건넸다. 한 총재는 또 영남 씨의 딸 은경 양이 컴퓨터학과에 다닌다고 하자 “남쪽이 미국이나 유럽보다 나은 IT강국인 걸 아느냐”며 “나중에 남쪽으로 유학을 오라”고 말했다. 영남 씨는 “제가 미래를 보고 컴퓨터학과로 보냈다”고 은근히 자랑하기도 했다. 김 씨는 29일 오후 30분간 별도의 기자회견을 갖고 그동안 자신과 가족들에게 쏠렸던 납북여부와 경위, 전 부인 메구미 씨 사망경위와 일본 측에 보낸 유골의 진위여부 등 여러 의혹에 대해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금강산 상봉행사에 참가하고 있는 북측 관계자들도 “이번에 남측이 궁금해 하는 것들을 모두 털고 갈 것”이라며 적극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한편 6·15 공동선언 6돌을 기념해 28일부터 시작된 제14차 이산가족 특별상봉 4회차 상봉행사에는 남측 방문단 98명과 동반가족 51명이 금강산을 찾았다. 남측 방문단은 28일 단체상봉에 이어 저녁에는 북측 주최 환영만찬에 참석하며, 29일 개별상봉과 공동중식, 삼일포 참관 행사를 가진 뒤 30일 오전 개별상봉을 끝으로 행사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