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심·뇌혈관 응급환자 발생시 3시간 이내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인프라 구축에 나서기로 했다. 또 65세 이상 노인과 장애인 등 사회 취약계층 환자에 대해 고혈압과 당뇨, 고지혈증 등의 본인부담금 가운데 일정액을 지원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12일 이 같은 내용의 '심·뇌혈관 질환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종합대책에 따르면 2010년까지 국립의료원 내에 중앙 심·뇌혈관질환 관리센터를 설치하고 전국 16개 지역별로 심·뇌혈관 질환 센터를 지정·운영키로 했다. 센터에는 전문의가 24시간 대기하며 응급환자 도착 후 30분 이내 치료가 가능토록 전문의료 서비스 인프라를 구축키로 했다. 심·뇌혈관 질환으로 의심되는 응급환자가 발생하면 일반 병원이 아닌 전문 센터로 호송할 수 있도록 119구급대와 1339 응급의료정보센터 간 연계도 강화되며, 응급구조사 등 전문인력 확충 및 교육 강화 등도 추진된다. 65세 이상 노인 등 취약계층에 대해서는 진료비 보조 등 인센티브를 주고 이들을 대상으로 방문보건사업 지정병원을 지정·운영키로 했다. 아울러 올해 5개 보건소에서 시범 운영되고 있는 비만클리닉을 2009년까지 전국 보건소로 확대키로 했다. 또 개인별 위험요인에 대한 맞춤형 건강검진 제공, 주요 만성질환에 대한 등록 관리 시스템 운영 등 건강생활 실천을 위한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키로 했다. 복지부는 이와함께 고혈압과 당뇨 등 심·뇌혈관 질환을 초래하는 선행 질환의 사전 예방과 관리, 심·뇌혈관 질환 발생 시 사망 및 후유 장애 최소화를 위해 과로사와 돌연사 예방·관리 방법을 담은 대국민 홍보책자 10만 부를 제작, 배포키로 했다. 복지부는 이번 대책으로 뇌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을 현재 인구 10만 명 당 77.2명에서 오는 2010년까지 20% 이상 감소한 60명 수준으로 낮춘다는 계획이다. 한편 2004년 현재 뇌혈관·심장질환, 당뇨병, 고혈압성 질환 등 심·뇌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자는 전체 사망자 중 28.1%로 1위인 암의 26.3%를 상회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