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 · 군 · 구별 평균 2293명…조선족이 가장 많아
행정자치부가 지난 4월 지방자치단체별로 거주외국인 현황을 조사한 결과, 관광객 등 단기체류자를 제외한 90일 이상 거주 외국인(합·불법체류 구분없이 조사, 국적 취득자 포함)이 시·군·구별로 평균 2,293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는 주민등록인구의 1.1%에 해당하는 53만 6,627명의 외국인이 거주하며, 이중 외국인 근로자가 47.6%인 25만 5,314명, 국제결혼이주자가 12.2%인 6만 5,243명, 국제결혼가정 자녀가 4.7%인 2만 5,246명이었고, 외국인 중 국적취득자는 3만 9,525명이었다. 또한, 외국인 근로자는 남성이 67%인 반면, 국제결혼이주자의 경우 여성이 84.9%로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적별로는 중국 국적이 46.1%(24만 7,440명)로 가장 많고, 동남아시아 23.0%, 남부아시아 6.3%, 미국 4.8%, 대만 4.0%, 일본 3.6% 순이었다. 중국 국적의 외국인 중에는 조선족이 16만 9,995명으로 전체외국인의 31.7%이고, 전체 국적취득자의 55%, 국제결혼이민자의 42.1%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역별로는 경기(31.5%), 서울(27.8%), 인천(6.3%) 등 수도권에 65.6%가 거주하고, 거주 외국인이 1만 명이 넘는 시·군·구가 안산시 등 8개인 반면, 100명 미만인 곳은 6개에 불과하여 전국에 걸쳐 외국인이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자체와 종교단체를 중심으로 한 민간단체에서 무료건강 검진, 한국어교육, 상담, 문화체험, 화합행사 개최 등을 지원 하고 있으나, 전반적인 외국인 지원은 미흡한 실정으로 234개 시·군·구의 73%에 해당하는 170개 시·군·구에 외국인 지원 단체·기구가 없으며, 운영 중인 130여 개 기구·단체 등에서도 예산부족 등으로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에 한계가 있어, 국가나 지자체의 보다 적극적인 지원을 필요로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번 조사는 최근 국내거주 외국인이 증가하고 있고 이들의 사회적응 문제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지역사회통합 시책 추진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군·구별 거주외국인 수 등 실태를 조사한 것이다. 행자부는 외국인의 지역사회통합 지원을 위해서는 자치단체가 거주 외국인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이번 조사에서 나타난 문제점 등을 보완하여 정기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아울러, 정부의 외국인 정책이 조속히 뿌리내릴 수 있도록 외국인 지역사회통합 업무추진 지침을 마련하고, 지자체 전담인력 확보 및 외국인 지원 조례 제정 등을 통해 외국인 지원 추진기반을 마련하는 한편, 자치단체가 거주외국인에 대해 한국어 등 교육, 민원 상담, 생활안정지원 및 편의제공, 응급구호 등 지역사회적응 시책을 적극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공무원 및 지역주민에 대한 교육·홍보, 외국인과 지역주민 간 화합행사 개최 등 친다문화 지역사회 조성을 위해서도 노력할 계획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