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기록원, 친일 진상규명 결정적 자료 될 듯
친일진상규명에 결정적인 증거자료가 될 관련 기록물이 대거 입수됐다.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은 6일 일본 국립공문서관, 회교사료관, 학습원 대학 등에서 '한국병합 기념장 재가서' 5권 등 친일진상규명과 사회주의계열독립운동, 일제지배정책을 규명할 자료 6만5000매를 입수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입수한 기록에는 일본 내각총리부 상훈국이 만든 서훈 공적기록과 조선총독부 경무국에서 생산한 사상 통제를 위한 대형 자료들이 포함돼 있다. 상훈 관련 기록은 '한국병합 기념장 재가서' 5권, '조선 국세조사 기념장 재가서' 20권, '지나사변 공적서' 8권, '지나사변 공로자 공적조서 조선총독부' 38권 등이다. 이들 자료는 경술국치의 책임자에 대한 상훈기록뿐만 아니라 노무동원, 국가총동원령 관련 징발, 중일전쟁 관련 군수품 수송, 공출수량 등에 대한 내용을 자세히 담고 있어 반민족 친일진상규명에 결정적 증거자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조선 총독부 경무국이 생산한 '국외재주적화선인단체일람도'와 '좌경단체계통일람'은 일제가 조선의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을 통제하기 위한 비밀기록으로 사상통제 정책을 한눈에 알 수 있다. 종교단체에 대한 감시기록인 '재선기독교각파분포도'(1921)는 전국의 장로교, 감리교 등 각 교파, 교구 내 신자까지 수록하고 있다. '근세반도년표'는 1910년 한일병합시기부터 1933년까지 조선총독부 내무국, 식산국 등의 국·과장, 재판소, 세관장을 비롯하여 지방청 장관, 학교, 군부의 간부를 한 장의 도표로 보여준다. 이 밖에 총독부 경무국이 작성한 '과격파예상진로도'와 '과격파지역수령분포도'는 일제가 1919년 3.1운동 직후 독립운동 관련 인사들의 국내외 탈출 예상도까지 파악하는 등 독립운동을 얼마나 치밀하게 탄압했는가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다. 국가기록원은 이번에 입수한 자료를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 등 필요한 기관과 연구자, 일반인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