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06억 투입…민간분야와 합치면 총 18만개 창출
보건복지부는 올해 국고 520억 원과 지방비 586억 원 총 1106억 원을 투입, 노인일자리를 8만 개 창출할 계획이라고 1일 밝혔다. 민간분야와 합치면 총 18만 개의 노인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고령화 사회에 대비, 노인에게 일자리를 제공해 사회생활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에서 지난 2004년부터 노인 일자리 창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사업 시행 첫 해 3만5000여 개를 비롯, 지난해에는 4만7000여 개의 노인 일자리를 마련한 바 있다. 노인에게 제공되는 일자리는 보건복지·교육·환경·교통 등 사회적 서비스 분야 사업에 참여하는 노인의 인건비를 정부에서 직접 지원하는 '사회적 일자리'. 여기에 참가하는 이들은 월 평균 20여만 원의 월급을 받으며, 올해부터는 최장 7개월까지 일할 수 있다. 올해는 거리·자연환경 개선, 청소년·교통질서 지킴이, 친절도우미 사업 등 '공익형' 일자리 4만4000개와 숲생태·문화재해설가, 강사파견 등 '교육형' 일자리 1만2000개, 지하철 택배·도시락배달·떡방·세탁방·주유원·주례 등 '자립 지원형' 일자리 1만2000개 등을 마련키로 했다. 특히 '노(老)·노(老) 케어(Care)' 등 복지형 일자리는 지난해 1750개에서 올해 1만2000개로 대폭 확대해 노인 일자리 사업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건강한 노인이 곤란한 노인 지원 '노·노 캐어''노·노 케어'는 건강한 노인이 일상생활이 곤란한 노인의 집을 직접 방문해 목욕, 청소, 간병, 말벗, 세탁, 옷 갈아입히기, 반찬 만들기, 독거노인 안전 확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저소득 노인을 대상으로 전기제품 수리, 장판 교체, 창문 수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인 주거환경 개선사업 등을 중점 추진할 계획이다. 노인일자리 사업에 참여하려면 이달 안으로 전국 시·군·구 사회복지과에 신청서를 제출하면 된다. 65세 이상의 신체 노동이 가능한 건강한 노인이 신청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성격에 따라 60∼64세 노인도 참여가 가능하다. 복지부는 이와 함께 노인 일자리 사업기관인 대한노인회, 시니어 클럽 등에 대한 지원 및 노인 일자리 박람회 개최 등을 통해 10만 개의 민간분야 노인 일자리를 발굴, 취업을 알선한다. 또한 대한노인회는 취업상담·일자리알선 서비스를 통해 사무원, 안내원, 경비원, 청소원, 기술직, 전문직 등 취업알선과 공동작업장 운영 등에 5만 명을 취업시킬 예정이다. 아울러 자립형 노인 일자리 창출 전담기관인 시니어 클럽, 중앙 노인 일자리 전담기관인 한국 노인 인력 개발원 및 시·도별로 개최하는 노인 일자리 박람회를 활용해 민간분야 노인 적합형 일자리에 총 5만 명을 취업시킬 계획이다. 복지부 이상인 노인지원팀장은 "고령사회에 적극 대처하기 위해 노인의 경륜과 지혜를 활용할 수 있는 노인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확충할 계획"이라며 "특히 중풍·치매 등 보호를 요하는 노인의 급격한 증가에 대처하기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분야 노인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확충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