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포상을 수여하기 이전에 인터넷을 통해 국민이 적격성을 검증하는 등 정부포상 검증절차가 한층 강화된다. 행정자치부는 국민이 상을 줄만한 지 국민이 판단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정부포상 추천 대상자를 사전에 공개하겠다고 28일 밝혔다. 시범실시기관은 행정자치부, 산업자원부, 건설교통부, 문화관광부, 경찰청, 농림부, 교육인적자원부 7개 부처이며, 10월 9일부터 포상후보자의 소속, 성명, 포상내용, 주요공적을 행정자치부와 해당 부처 홈페이지에 1주일 동안 공개해서 국민의 의견을 수렴한다. 이 과정에서 포상대상자가 비리가 있거나 공적이 허위라는 의견이 제시되면 당사자 소명 등을 거쳐 포상추천 여부를 재검토한다. 개인에 대한 허위 비방정보 게시를 방지하기 위해 의견을 제시할 경우 실명확인을 거쳐야 하며, 공개를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포상담당자에게 이메일로도 의견을 전달할 수 있다. 또 행정자치부는 공사생활에 물의를 일으켜 정부포상이 합당하지 않은 사람을 추천할 경우 해당부처에 불이익을 주는 등 부처별 포상운영실태 평가시스템을 강화할 방침이다. 행정자치부 김국현 의정관은 “사전공개를 통해 포상추천 과정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여 상을 받을 만한 사람이 상을 받는 풍토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