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선진국에 비해 지나치게 주사제를 많이 처방하고 있는 의료계의 현실을 감안, 소비자 선택권을 보장하기 위해 주사제를 적게 처방하는 5280개 병·의원 명단을 최초로 공개했다. 복지부와 심사평가원은 2004년도 4/4분기 외래환자에 대한 주사제 사용실태를 평가한 결과 처방율이 종합전문요양기관 8.0%, 종합병원 13.7%, 병원 29.5%, 의원30.9%로 선진국에 비해 매우 높고, 의사간에 처방의 편차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주사제는 먹는 약에 비해 체내 흡수가 빠른 장점이 있는 반면, 급성쇼크, 혈관염 등 부작용의 위험이 커 약을 먹을 수 없거나 응급한 경우에만 사용토록 하고 있다. 때문에 미국, 영국 등 외국 전문가들은 외래 환자의 적정 주사제 처방률을 1~5% 이하로 제시하고 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급성상기도감염(통칭 감기등)에 대한 주사제 처방률은 서울(20.73%)·경기(20.64%)에 비해 경북(41.12%)·경남(38.35%)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사제 사용이 가장 많은 동네의원의 경우 2004년의 처방률 감소세는 2003년에 비해 현저히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감기등으로 내원하는 거의 모든 환자에게 주사를 처방하는 의원(98.88%)이 있는 반면, 먹는 약만 처방하고 주사는 전혀 사용하지 않는 의원(0.00%)이 있는 등 기관간 편차도 심했다. 이에 따라 병·의원 중 주사제 처방률이 낮은 25% 범위에 해당하는 병원 145개소와 의원 5138개소를 지역별로 명단을 공개함으로써 소비자의 알 권리를 보장키로 한 것이다. 복지부는 소비자단체, 의료계 등 관계자로 구성된 중앙평가위원회에서 공개범위 및 방법 등에 대해 논의를 거쳐 주사제를 적게 사용하는 5280여개 병·의원의 명단을 최초로 공개했다. 명단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서 검색할 수 있다. 한편 지난해 10월 국민과 의사를 대상으로 주사제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와 의사 절반 이상이(각각 69.6%, 55.1%) 치료기간이 단축된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일한 성분·함량인 경우 먹는 약과 주사약 사이에 약물효과의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소비자(66.3%)와 의사(56.3%)의 절반 이상이 주사약의 치료효과가 좋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소비자의 24.1%가 주사를 요구한 경험이 있다고 한 반면 의사는 환자의 49.4%가 요청한다고 응답해 소비자의 요구에 비해 의사가 느끼는 환자의 요구도가 훨씬 높았다. 또 환자가 요구한 주사제를 처방하지 않을 때 소비자의 20.5%가 병원을 바꿀 것이라고 응답한 반면 의사는 60.0%가 환자가 병원을 바꿀 것이라고 응답해 의사들이 경쟁적 진료환경을 크게 의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정부는 소비자와 의사 모두 인식전환이 되도록 명단 공개, 올바른 주사제 사용에 대한 홍보, 캠페인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그 효과를 다각도로 분석해 우리나라의 주사제 처방률이 선진국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