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부총리 대국민 호소문 "대학별 전형계획 발표되면 부담 사라질 것"
김진표 교육부총리는 6일 "대학과 긴밀한 대화를 통해 고등학교 기말고사 이전인 6월말까지는 대학별 주요전형계획을 발표하겠다"며 "또 내신성적의 중압감으로 불안해하는 학생들의 학업성적에 대한 부담을 덜어 주는 방안을 조속히 마련, 시행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김 부총리는 고1 학생들이 7일 저녁 촛불시위 등 움직임을 보이는 것과 관련, 이날 '국민여러분께 드리는 호소문'을 통해 이같이 거듭 강조하며 학부모와 학생들의 이해를 당부했다. 김 부총리는 "2008학년도 이후 대입전형제도는 교육의 중심을 학교 밖에서 학교 안으로 끌어와서 학교교육을 정상화하기 위한 것"이라며 "독서, 토론, 논술 등 사고 활동이나 자치·봉사·자기계발 등 각종 특별활동을 활성화하고 이를 학생부에 충실히 기록하면 각 대학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시험 성적 위주보다는 특기, 경력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 ‘여러 줄 세우기’에 의한 학생 선발을 계속해 나가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부총리는 "그 예로 최근 언론에 보도된 서울대의 2008학년도 대입 전형 주요 계획 검토안을 들 수 있다"며 "서울대 계획안에 따르면 내신 위주의 지역균형 선발전형과 어학·수학 등 수상 경력을 중시하는 특기자전형, 그리고 논술 중심으로 선발하는 정시모집 비율을 각 1/3씩 동일하게 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고 소개했다. 김 부총리는 또 수험생들의 경쟁을 원천적으로 해소하기 위해서는 우수대학이 많이 생겨야 한다며 대학 구조개혁방안도 함께 제시했다. 교육부는 우선 대학간 통폐합 뿐 아니라 학과간 교환, 학과의 정비, 자체 구조 조정 등의 다양한 구조개혁 방안 중 대학이 자율적으로 선택하도록 유도하고, 성과목표의 타당성 및 이행 정도 등에 따라 대학구조개혁 재원 800억원을 선택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특히 국립대학이 통합을 원할 경우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대학혁신자문팀'에 용역을 의뢰해 통합의 타당성, 특성화 부합 정도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진단한 후 지원 여부 및 규모를 결정키로 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