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훈처 내년부터… 손자·손녀는 월 25만원 지원
독립유공자들에게 훈격별로 지급하는 예우금이 내년부터 월 20만∼60만원에서 60만∼100만원으로 인상된다. 또 광복 이후 사망한 독립유공자의 손자·손녀에게도 내년부터 매월 25만원씩을 가계비로 지원한다. 국가보훈처는 지난 10일 독립유공자에 대한 존경심과 예우하는 풍토 조성을 위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독립정신 선양 사업 강화’ ‘독립유공자 본인의 특별 예우 확대’ ‘독립유공자 유족 지원 강화’ 등 3대 개선대책을 마련,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안주섭 국가보훈처장은 이날 오전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 같은 개선대책을 보고했다. 보훈처에 따르면 정부는 광복 60주년인 내년에 독립유공자 발굴과 포상을 위해 5개 지방대학 연구소에 사료 발굴을 의뢰, 대대적인 독립유공자 찾기에 나선다. 또 민간 사료 발굴·분석단을 운영하고 정부 기관의 사료를 공동 활용하는 역사 정보 시스템 구축 등의 작업도 펼쳐 나가기로 했다. 청소년들의 독립정신 선양을 위해 초·중·고교 국사 교과서에 독립운동 관련 내용을 확대 개편하고 독립기념관의 체험 학습 시설을 적극 활용키로 했다. 교사·대학생들의 국외 사적지 순방도 확대하며 미군 용산기지 이전 부지에 애국 테마 공원도 조성키로 했다. 보훈처는 또 훈격별로 지급되는 독립유공자 예우금을 60만∼100만원으로 각각 40만원씩 인상하고 보훈병원 의료진과 가정 간호를 연계해 주기적 방문 검진 등 상시 건강 관리 체계를 9월부터 구축키로 했다. 이와 함께 거동불편 해소를 위해 전동 의자차 50대를 11월부터 지급키로 했으며 내년부터 차량 LPG 사용도 지원키로 했다. 광복 이후 사망한 유공자의 손자·손녀 494명에게 매월 25만원씩 지급하고 유족의 보훈연금을 현재 유공자의 40% 수준에서 60%까지 단계적으로 향상하며 유족 제수비 지급 범위를 확대키로 했다. 해외 거주 독립유공자 후손의 국내 정착시 정착금 지급 대상을 전체 가구로 확대하고, 지급액도 가구당 6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단계적으로 인상키로 했다. 이 밖에 보상금을 받지 못하는 생계 곤란자에 대한 지원 방안도 계속 검토키로 했다. 보훈처 관계자는 “이번 대책이 독립유공자와 그 유족의 희생에 대해 정부가 끝까지 책임진다는 원칙을 구체화한 것”이라며 “연차적으로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비연금 대상 유족에 대한 지원책을 계속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