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이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고심중인 가운데 국내 산림의 탄소 흡수율이 세계 최고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포항공대 환경공학부 장윤석 교수팀은 지난 9일 “1954~2001년까지의 자료를 기초로 국내 산림의 탄소 흡수량을 분석한 결과 ㏊당 연간 흡수량(㎎)이 미국(0.5) 유럽(0.3) 중국(0.3) 보다 훨씬 높은 1.5㎎에 달한다”고 밝혔다. 지역별로는 전북이 2.3으로 가장 높았으며 경남(2.1) 전남(1.6) 제주(1.4) 경기ㆍ강원(1.0) 충남ㆍ충북(0.9) 순이었다.
장 교수는 “탄소 흡수율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나무의 연령”이라며 “60년대 대대적인 산림녹화 사업을 벌인 덕택에 탄소 흡수율이 가장 높은 30~40년 생 나무들이 많은 것이 이 같은 결과를 낳은 결정적인 이유”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환경관련 국제 학술지인 ‘국제 생물지구과학’ 지난해 12월호와 ‘환경과학ㆍ기술’ 지난달호에 각각 게재됐다.
장 교수는 “우리나라는 화석 연료 때문에 세계에서 10번째로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있다”며 “2008년 교토 의정서가 발효되면 우리도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의 5.2% 수준으로 낮춰야 하는 상황에서 국내 산림의 탄소흡수량이 세계 최고 수준으로 분석된 것은 매우 고무적”이라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