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08년 완공 목표인 방사성 폐기물 관리시설의 후보지가 선정됐다.
정부는 오늘 국무총리 주재로 원자력위원회를 열어 방사성 폐기물 관리시설 후보지 4곳을 정했다.
후보지로 뽑힌 곳은 전남 영광군 홍농읍과 전북 고창군 해리면, 그리고 경북 영덕군 남정면과 경북 울진군 근남면 4곳이다.
정부는 이들 후보지가 바다에 접해 있어 폐기물 수송선을 접안할수 있고 위치나 지질 등 여러 조건이 좋아 부지 후보로 정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들 네 후보지를 대상으로 정밀 지질조사와 사전 환경성 검토, 그리고 해당지역 주민들과의 협의를 거쳐 내년 3월쯤 최종 부지 2곳을 결정할 계획이다.
부지에 짓게될 방사성 폐기물 관리시설은 한 곳에 30만평씩 모두 60만평 크기로 폐기물 처리시설과 기반시설, 주민 편의 시설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정부는 지난 2001년 전국 2백44곳의 부지를 대상으로 동명기술단에 선정용역을 맡겨 후보지를 압축했다.
그러나 방사성폐기물 관리시설 후보지 4곳이 발표되자 해당 지역민과 환경단체 등이 일제히 반발하고 나섰다.
환경운동연합은 지난 4일 세종문화회관 뒤편에서 핵폐기물 관리시설 후보지선정과 관련 대규모 집회를 개최하는 등 강하게 반발, 차후 지속적인 저항운동을 갖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들 지역의 주민과 환경단체들은 “지역민들의 의견을 무시한 결정”이라며크게 반발했다.
.
▲울진.영덕군지역 울진군지역의 경우 지난달 109개 단체로 출범한 울진원전반대범군민대책위원회(공동대표 황성섭.45)가 즉각 반대의사를 분명히 했다.
울진원전반대범군민대책위는 “울진지역에는 현재 6기의 원전이 건설.가동 중으로 지금까지 주민들이 최대한 협조했음에도 핵폐기물처리장까지 건설하려는 것은 도저히 용납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 대책위는 또 "지난 94년 과학기술부가 핵폐기물 처리장을 울진에 설치하지않기로 약속한 바 있고, 지난 99년에는 산업자원부가 4기의 원전을 추가로 건설하는대신 핵폐기물처리장을 설치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면서 "지역민을 배신한 행위"라고 지적했다.
또 경북도는 지난달 29일 산업자원부에 ‘방사성폐기물 부지선정 제외’를 요청하는 공문을 보내는 등 반대의사를 밝혔었다고 설명했다.
영덕군 지역민들은 지난 89년 남정면 우곡리가 거론될 당시 격렬한 시위를 벌였다가 이후 침묵을 지켜왔으나 이날 후보지로 선정되자 크게 당황하고 있다.
지역민과 시민.환경단체는 앞으로 원전반대위를 구성해 투쟁할 방침이다.
▲영광. 고창군 지역 그동안 지속적으로 핵폐기장 설치 반대운동을 벌여온 이들 지역 핵폐기장 반대대책위와 주민들은 결코 정부의 결정에 따를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이며 지난 6일부터 농성에 들어갔다.
또 군 이장단의 총사퇴를 비롯해 학생 등교거부, 군민집회, 상경집회 등 핵폐기장 저지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기로 다짐했다.
자치단체장으로 큰 부담을 안게 된 김봉열 영광군수는 "주민 대다수가 유치를거부하고 있는 상황에서 핵폐기장을 설치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반대의사를 분명히 했다.
김 군수는 “내년 3월 후보지를 최종 결정할 때까지 군민들의 여론에 맞춰 자치단체가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 적절히 대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러한 민간단체와 주민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핵폐기물 처리시설 선정을 강행할 예정이어서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전성우 기자 jsw@krnews21.co.kr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