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와 같은 출산율이 계속 유지될 경우 오는 2100년에는 우리나라 인구가 현재의 3분의 1 수준으로 떨어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 13일 통계청의 인구통계 자료 등을 토대로 향후 인구를추계한 결과, 오는 2100년에는 우리나라 인구가 구한말 당시(1천500만명)보다 약간많은 1천621만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보사연 김승권(金勝權) 사회정책연구실장은 "통계청이 2001년 출생률을 1.47, 2002년 1.45, 2005년 1.37 등으로 가정하고 인구 변화를 예측했지만 실제 2002년도출생률은 1.17이어서 추계가 틀린 것으로 판명됐다"고 말했다.
보사연 추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는 2050년 4천46만명, 2075년 2천663만명으로 관측됐다. 이는 통계청 추계인 2050년 4천434만명, 2075년 3천252만명보다 훨씬더 많이 감소하는 것이다. 통계청은 2100년 인구를 2천310만명으로 내다봤다.
보사연은 또 오는 2018년에는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14%가 되는 고령사회에, 2020년에는 노인인구 비율이 20%를 넘어서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분석했다.
김 실장은 "현재 2003년 인구통계 작업을 하고 있는데 당분간 출산율이 회복될것이라는 기미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면서 "저출산 현상을 극복할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