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와 맞물려 부익부빈익빈 현상이 심화되면서 공항, 학교, 지하철, 백화점 등 공공시설을 이용하는 평범한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협박사건이 급증하는 양상이다.
특히 이들의 협박이 예전처럼 장난이나 모방성 범죄에 그치지 않고 경제적인 박탈감에서 비롯된 개인적·사회적 증오심을 강남처럼 특정지역의 불특정다수를 타깃으로 삼아 표출되고 있어 경찰에 비상이 걸렸다.
최근 강남 초등학교와 유치원에 배달된 협박편지나 지난 9월 경제적 궁핍을 이유로 유명 음료회사에 독극물을 넣겠다고 협박한 것 등이 단적인 사례다.
경찰청은 올 들어 11월 초까지 발생한 협박사건은 모두 67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2건보다 4.6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특히 지난 2월 8일 대구 지하철 방화사건 직후 15건의 모방범죄가 발생하는 등 매달 5∼7건의 협박범죄가 발생하고 있다. 범행 수단은 전화가 56건으로 가장 많았고 편지 6건, e-메일 3건, 방문협박 2건 등이었다. 또 범행동기로는 사회불만 20건, 정신질환 8건, 금품요구 3건, 장난 2건 순으로 사회불만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황 변화에 따라 경찰도 대응책 마련에 착수했다.
경찰청은 이날 전산에 입력해 활용중인 전국 52만4774대의 공중전화 위치를 사전확인하고 정기 적응훈련을 실시, 현장검거 체제를 구축키로 했다. 또 다중이용시설, 학교 관공서 식음료회사 안전책임자에게 발신자표시 전화기 설치를 권고하는 한편 협박 유형별 대응요령을 통보했다. 이와 함께 과거 협박경력자 명단을 별도로 관리, 수사자료로 활용키로 했다.
경찰청 관계자는 “협박범죄는 대부분 사회불만이나 정신질환으로 인한 것”이라며 “협박사건의 경우 장난, 허위신고로 밝혀지더라도 엄정히 처벌해서 범죄심리를 억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