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체들의 규모가 점차 커지는 반면, 임시, 일용직과 무급 사업체 종사자는 급증, 이른바
‘구조조정’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또 전체 사업체 가운데 절반은 도, 소매업종과 숙박, 음식업종이며 이 두 업종에 전체 사업체 종사 여성의 40%가 일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17일 통계청 발표에 따른 ‘2001년 사업체 기초통계조사’ 살펴보면, 사업체중 종사자 300명 이상 사업체 수는 2천614개로 전년보다 19% 급증, 각각 7.2%, 5.3%가 늘어난 100∼299명 종사업체와 5∼99명 사업체의 증가율을 크게 앞질렀다.
그러나 규모의 대형화와는 대조적으로 고용, 근무조건은 뚜렷하게 악화돼 임시, 일용 및 무급종사자는 전년도 149만여 명에서 183만여 명으로 무려 22.4%나 급증한 반면, 상용 종사자는 전체 사업체 종사자 증가율(3.9%)에도 미치지 못했다.
각 업종중 사업체수가 가장 많은 업종은 도·소매업과 숙박, 음식점업으로 전체 사업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29.3%, 20.2%에 달해 이들 두 업종이 우리나라 전체 사업체의 절반을 차지했다.전체 사업체에 종사하는 여성 수는 558만6천명으로 6.2%늘어 남성 종사자수 증가율(2.4%)을 크게 웃돌았으며 특히 전체 사업체 종사여성의 40%를 고용하고 있는 도. 소매업과 숙박. 음식 업종은 전체 종사자의 각각 45.4%, 67.5%가 여성이었다. 한편, 2001년 기준 우리나라 총 사업체 수는 304만4천 개로 전년에 비해 1.0% 늘었으며 전체 종사자수는 3.9% 증가한 1천413만1천명, 사업체 1개당 종사자수는 0.1명 늘어난 4.6명으로 집계됐다.
민동운 기자 mindy@krnews21.co.kr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