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7일 금강산 사건 후속조치와 관련, “정부가 현재 가장 고심하고 있는 것은 국민의 안전”이라면서 “관광객 안전이 보장된다면 개성관광은 중단할 것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김호년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오전 정부중앙청사 합동브리핑센터에서 브리핑을 갖고 “(관광객) 안전에 대해 추후라도 문제가 있다면 안전대책을 강구하기 위한 조치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금강산관광과 개성관광은 별개라는 정부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밝힌 뒤 “현대아산 측에 개성관광 안전에 대한 강한 협조요청을 했지만 개성관광에 대해 중단하라 말라 얘기한 적은 없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또 “정부 차원에서 북이 진상조사단 파견 요구에 응하지 않고 있는데 따른 후속대책을 마련 중”이라며 “상황이 장기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고 북측이 사과해서 상황이 호전될 수도 있다. 전반적인 추가 대책은 적절한 시점이 되면 포괄적으로 정리해서 밝힐 것”이라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지난 12일 명승지종합개발지도국 담화 이후 북측의 추가 반응은 없다”면서 “대외적으로는(대외 매체를 통해서는) 평양방송과 조선중앙통신 등에서 네 차례 사건을 보도했지만 대내적으로는 침묵하고 있어 북한 사람들이 알지 못하는 것 아니냐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일전에 청와대에서 밝힌 ‘이번 사건과 남북관계는 별개의 문제’라는 방침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 대변인은 지난 16일 발생한 개성공단 입주기업 건설현장 안전사고와 관련, “16일 11시경 개성공단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안전사고로 북측근로자 1명이 사망하고 2명씩 4명이 각각 중상과 경상을 입었다. 남측근로자 1명도 경상을 입었다”면서 “북측 사망자는 북측에 인계를 했고 부상자는 응급조치를 취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대변인은 또 각종 용어 사용과 관련, “현재 6개 기관 8명의 전문가로 구성돼 있는 정부조사단은 ‘합동조사단’, 정부가 북에 파견을 요청하고 있는 정부대표단 형태의 조사단은 ‘진상조사단’, 정부 요청을 북측이 받아들여 남북이 같이 진상조사팀을 꾸리게 된다면 ‘공동조사단’이라고 부를 수 있다”고 설명하고 “정부는 금강산 관광객 사망은 ‘사건’, 개성공단은 ‘사고’라고 규정한다”고 덧붙였다. 김 대변인은 “이번 사건과 관련, 합동조사단은 물론, 통일부, 외교부 등 관계부처 간에 아주 긴밀하고 유기적인 협조가 이뤄지고 있다”면서 “현대아산 관계자들로부터도 실시간으로 상황보고를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