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적인 철강파동으로 국내 철근 수급에도 비상이 걸리면서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이 민간 봉사단체들과 함께 고철모으기 운동에 나섰다.
지난 4일 지자체들은 수거 목표를 정하고 지원예산을 배정하는가 하면 실적이 우수한 공무원이나 단체 등에는 인센티브를 주는 방법으로 고철모으기를 독려하고 있으며 합동지도반을 구성, 가격담합이나 매점매석 등을 단속하고 있다.
한편 철근 등 원자재를 구하기 힘들게 되자 곳곳에서 건설 및 수해복구공사 등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으며 고철값이 급등하면서 고철류를 도난당하는 사례도 크게 늘어나고 있다.
▲고철수집운동 = 경북도는 오는 4월까지 새마을회, 자연보호협의회 등과 합동으로 `1인 1㎏이상 고철모으기 운동′을 펼치고 있다.
대구시 달서구도 5일부터 20일까지 ′나라사랑 고철모으기 운동′을 벌이기로 했으며 경북 예천군은 4일부터 다음달 말까지 새마을단체, 한국자유총연맹, 생활개선회, 청년회 등과 공동으로 고철 500t을 수거하기로 했다.
새마을운동 달성군 지회도 남녀 새마을 지도자 5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이달 에 고철 70t을 모으기로 했다.
광주시도 지난 5일부터 이달 말까지 고철모으기 운동을 벌이기로 하고 상공회의소, 교육청, 새마을회, 바르게살기운동협의회, 자연보호협의회 등에 동참을 요청했다.
전남도 역시 3월 한달을 고철 수집기간으로 정하고 이 운동을 봄맞이 국토 대청소 운동과 연계, 효율성을 높이기로 했다.
전남 함평군의 경우 고철모으기 첫날 도로변, 농경지, 공한지 등에 버려진 고철 100여t을 수거하기도 했다
대전시는 이달부터 매주 토요일을 ′고철 수거의 날′로 지정하는 한편 4월부터는 1일과 15일을 중점 수거의 날로 운영해 고철을 모으기로 했다.
또 사회단체와 공동으로 대대적인 범시민운동을 전개하고 수거 실적이 좋은 자치구에 대해서는 특정교부금 등을 활용해 시상할 방침이다.
충북도도 오는 20일까지 가구당 평균 5㎏씩 모두 2천500t의 고철을 수집할 계획이다.
민간단체들은 고철을 모아 판매한 수익금 전액을 경로당 지원 등 이웃돕기 성금 으로 활용키로 했으며 도는 고철 수집소 설치와 운반차량을 지원한다.
경기도는 매주 토요일을 ′고철 수거의 날′로 설정해 각 가정과 마을, 업체 등에서 고철을 수집한 뒤 자원재생공사에 연락하면 이를 매입하도록 했다.
▲철근부족 곳곳서 피해 = 울산시의 경우 지난해 11월부터 조달청의 철근 구매공급이 중단되면서 종합운동장 건립과 산업도로 건설 및 확장 등의 관급공사가 중단됐거나 중단위기를 맞고 있다.
대구지역 주물업체들도 지난해 11월 kg당 200원 하던 선철이 현재 360원선, 고철은 ㎏당 150원에서 300원까지 오른데다 이마저도 물량을 구할 수 없어 조업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
강릉을 비롯, 강원도내 9개 시.군은 지난해 발생한 수해 복구를 위해 철근 4만2천44t이 필요하지만 확보한 물량은 4천275t으로 10% 정도에 불과해 공사에 차질을 빚고 있다.
고철류 도난사고도 잇따라 지난 1일 원주시 문막읍 모 공업사에서 H빔 20개를 훔치는 등 화물차를 이용해 원주지역 공업사와 신축 공사장 등에서 철근 387개를 훔친 황모(43.원주시)씨 등 2명이 최근 경찰에 붙잡혔다.
앞서 지난달 26일에는 춘천시 근화동 이모(58)씨가 자신이 운영하는 C고물상 창 고에 보관중이던 500만원 상당의 구리를 도난당했으며 지난달 초에는 화천군 사창리 이모(51)씨가 운영하는 C재건사 마당에 보관중이던 새시 등 200여만원 상당의 고철류를 도난당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