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명숙 국무총리는 27일 “우리 정부의 외교안보정책 기조에 우려가 초래될 경우 미국 정부에 대해서 다른 목소리를 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 총리는 이날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취임 100일을 맞아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 최근 논란이 일고 있는 이종석 통일부 장관의 북한 미사일관련 발언에 대한 질문을 받고 “미국과의 동맹, 튼튼한 공조는 이뤄져야 하지만 개별 사안에 대해 우리나라의 외교안보 정책 기조에 우려가 생길 경우 우리는 우리의 실익을 위해 말할 수 있다고 본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한 총리는 “한미간 공조는 튼튼하게, 그 근간이 흔들리지 말아야 한다는 기본적인 전제 하에서 말하는 것이며, 외교문제에 있어 한미 동맹의 문제는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함이 없다”면서 “그러나 우리 정부는 한반도의 안전과 평화라는 절대로 놓쳐서는 안될 외교안보정책 기조를 유지해야 할 임무를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 부시 행정부의 외교안보 정책은 미국 내에서도 굉장히 국민적 비판이 일고 있다”며 “지난번에 유엔 안보리에서 결의안을 낼 때 군사 제재까지 포함할 경우 (한반도의) 안전, 평화에 대한 우려가 있을 수 있다는 측면에서 문제를 제기했고 (그러한 문제제기가) 받아들여졌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또 “개별 사안에 대해 자기 나라의 목소리를 낸다고 해서 한미간 공조가 깨지거나 차질이 생길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오히려 그런 상황에 대해 자기 목소리를 내고, 큰 흐름에 대해 공조를 같이 할 때 건강한 파트너십을 이룰 수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 총리는 이어 개헌에 대한 입장을 묻자 “개헌의 필요성에 대해 느끼고 있다”며 “국회의원 선거와 대통령 선거 간 불일치 문제랄지, 단임제에서 중임제로 가는 두 가지 문제는 필연적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제헌절에 국회의장께서 관련 연구기구를 만들어 연구해야 한다고 했는데, 시기는 아무래도 정기국회 이후가 되지 않을까 전망된다”고 밝혔다. 대통령과 논의가 있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대통령과 말씀을 나누지는 못했다”며 “개헌의 주체는 국회로, 총리로서는 국회에서 개헌이 진행되면 행정적 지원을 충실히 하겠다”고 덧붙였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