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감시-경비용 로봇을 개발, 군부대 초소병력으로 대체하고 고급기술인력 1만명은 병역특례로 산업계에 지원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산업자원부는 지난 16일 ‘1만병력 대체 감시용 로봇 개발 프로젝트’를 마련하고 앞으로 5년간 100억원을 지원해 시각과 청각 기능을 갖춘 지능형 감시로봇을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감시용 로봇을 상용화해 군부대 초소병력으로 대체하고 그만큼의 군병력은 인력 부족난을 겪고 있는 산업계에 지원하겠다는 뜻이다.
이는 또한 인구 감소로 군자원이 줄고 있는 상황에서 병역특례를 무조건 늘리기는 어렵다는 현실적 판단에 따라 로봇을 주고 인력을 받겠다는 산자부의 고육책으로 풀이된다.
현재 병역특례요원은 전문연구요원 1만4000여명, 산업기능요원 7만6000여명 등 모두 9만명 수준이지만 오는 2005년에는 1만명 정도의 인력이 더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보초용 로봇이 상용화될 경우 군은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이공계 기술인력은 병역특례라는 실질적 인센티브를 볼 수 있으며 산업계는 이들 인력을 활용, 신성장 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등 1석3조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게 산자부의 분석이다.
산자부 홍기두 자본재산업국장은 “원전산업에서의 로봇 기술, 무인항공기, 카메라 등에서 우리기술이 상당히 진전돼 있어 이를 바탕으로 한 군 보초용 로봇 개발이 충분히 가능하다”며 “군부대 초소 병력은 물론 원전 가스시설 항만 등 국가기간산업으로 활용을 늘리고 남는 인력은산업계에 투입할 수 있도록 국방부와 구체적 협의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