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국립암센터를 통해 실시한 2007년 국민 암 검진 수검률 조사결과, 국민의 5대 암 검진 수검률은 47.5%로 국민 2명 가운데 1명꼴로 암 검진을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23일 밝혔다.이 조사는 국립암센터 국가암관리사업단이 한국갤럽에 맡겨 지난 8월 23일부터 9월 10일까지 전국의 암 진단을 받지 않은 만 40세 이상 남자와 만 30세 이상 여자 등 2021명을 지역별 인구 수에 비례해 무작위 추출해 개별방문을 통한 일 대 일 면접방식으로 이뤄졌다.암 종류별 수검률을 보면 자궁경부암(57.0%), 유방암(45.8%), 위암(45.6%), 대장암(43.4%), 간암(22.7%, 고위험군) 등의 순이었다.연령별 암 검진 수검률을 보면 60대에서는 위암(53.6%), 간암(29.4%), 대장암(48.2%) 등이 높고, 50대에서는 유방암(52.0%)이, 40대에서는 자궁경부암(66.7%)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소득수준별로 보면 월소득 100만원 미만 대비 300만원 이상 조사대상자의 암 검진 수검률이 1.5배 높게 나오는 등 소득 수준과 암 검진 수검률이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또 비흡연자 대상군의 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수검률이 흡연자 대상군에 비해 1.2배에서 11.3배까지 높고,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조사대상군의 위암, 대장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수검률도 비운동군에 비해 1.2배에서 3.1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나라 국민의 암 검진 수검률은 2004년 38.9%, 2005년 40.3%, 2006년 43.0% 등으로 해마다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