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오는 9월 워싱턴에서 한·미 정상회담을 열기로 양국 외교 당국자 간 의견 접근이 이뤄졌다. 청와대 송민순 통일외교안보정책실장은 몇 달 전부터 미국 측과 정상회담 일정을 협의해 왔으며 9월 정도에 워싱턴에서 갖는 데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송 실장은 다음달 초 워싱턴을 방문, 백악관 스티븐 해들리 안보보좌관 등 미국 외교정책 당국자들을 만나 한·미 정상회담의 구체적 일정과 의제를 조율할 예정이다. 9월 워싱턴 정상회담이 개최되면 노 대통령과 부시 대통령의 회담은 지난해 11월 경주회담 이후 10개월 만에 이뤄지는 것이다. 양 정상은 회담을 통해 북한 핵문제를 비롯한 양국 관계 전반에 대해 논의하고, 동북아시아 정세와 세계 주요 문제에 대한 의견도 나누게 될 것으로 보인다. 송 실장은 “근래 들어 북한 핵문제와 직접 관련은 되지 않지만 간접적으로 분위기 상 영향을 주는 문제들에 대해서도 한·미 간 좀 더 협의와 조율의 수준을 올려야 할 필요가 있는 게 사실”이라며 “정상회담이 열리면 그런 논의를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북핵 문제에 대해서는 “한·미 간 지속적인 협의를 해 오고 있지만 한국이 처한 상황이 있고 미국이 처한 상황이 있다”며 “서로 다른 상황을 잘 인식하면서 협의하고 조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북한과 대화를 하는 방식이나 조건에 대해 서로 다른 점이 있으면 서로 조율할 필요가 있는 것이 현재의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송 실장은 “지난해 11월 경주 정상회담에서 양 정상 간 공동선언을 채택해서 앞으로 한·미 관계가 나아갈 방향을 설정했다”며 “가까운 동맹일수록 조율해야 할 문제들이 많이 생기는 만큼 협력적으로 조율해 나갈 필요가 많다”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