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항공외교를 강화하고 전 세계 항공의 균형발전을 위해 오는 20일까지 개발도상국 항공 관계자들을 초청해 우리나라의 차세대 항법기술을 전수한다고 밝혔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서 추천받은 캄보디아 등 18개국 관계자 18명이 차세대 항법기술 등 성능기반 항법을 교육받는다.
이번 항행분야 국제교육은 지난 2001년 처음 시작돼 올해 13년째로, 올해 상반기까지 아태 지역, 아프리카, 중동 지역 등 세계 104개 국가에서 914명이 다녀갔다.
항공기술훈련원에서 교육이 진행되며, 교육 과정은 ICAO에서 국제 홍보와 교육생 추천 등의 행정지원을 맡아 이뤄진다.
현재 항행안전시설 해외 시장은 연간 약 4조 원 규모로 업체 간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에 국토부는 해외진출 확대지원 정책의 일환으로 개도국 무상 국제교육 사업, 해외 입찰정보 제공 서비스, 전시회 개최, 홍보물 제작, 핵심기술 국산화 등을 추진하고 있다.
개도국 교육프로그램은 국내기업(한국공항공사, 모피언스, 유양산전 등)에서 생산하거나 계획하고 있는 항행 관련 장비 소개와 성능기반 항법 및 관련 항행정책 등에 대한 전문 이론 및 실습교육으로 진행된다.
국내기업이 개발한 국산장비는 교육생들을 통해 자국의 정책에 반영돼 국내 329억원의 수입 대체 효과와 터키 등 16개국에 366억원 수출 등 총 695억원의 외화획득 효과도 봤다.
국토부는 이번 교육을 통해 입찰이 진행 중인 태국, 캄보디아, 라오스 등의 수주 활동에도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