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미사일 둘러싼 한·미·일 시각차...한국 ‘연착륙 작전’…미·일 강경 입장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막기 위한 우리 정부와 미국·일본 등 정부의 외교 활동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각국 간에 미묘한 시각 차가 드러나고 있다. 미국과 일본은 발사가 임박한 것으로 보고 즉각적인 대응에 나설 것임을 선포하는 등 북의 의지를 힘으로 꺾겠다는 태세인 반면 우리 정부는 북한이 ‘체면손상’ 없이 자연스럽게 발사계획을 포기할 수 있도록 하는 ‘연착륙’ 작전을 펴고 있다.韓 “연료주입 다 안된 듯”정부는 20일 북한의 대포동 2호 미사일 발사 움직임과 관련, 북측의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면서 유사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이종석 통일부 장관 등 정부 당국자들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열린우리당 지도부 대책회의에 참석, 북한의 미사일 발사동향과 대책에 관해 이같이 설명하고 “발사체에 탑재할 물체의 성격이 미사일인지, 인공위성인지에 대한 한·미 정부의 분석이 아직 불확실하다”고 보고했다고 우 대변인은 말했다.정부는 또 ‘대포동 2호’ 미사일에 연료 주입이 아직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20일 국회 정보위 한나라당 간사인 정형근 의원은 회의 직후 브리핑에서 “현재 발사대 주변에서 관측되는 40개 연료통으로는 등유 15t 등 65t 규모의 추진제를 충족시키기에는 모자란다는 점에서 연료 주입이 다 됐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국정원이 보고했다”고 말했다.美 “연료 가득 주입된 상태”콘돌리자 라이스 미국 국무장관은 19일(현지시각)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할 경우 북핵 6자회담의 9·19 공동성명을 파기하는 것이 될 것이기 때문에 “매우 심각한 문제이며 실로 도발적인 행동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라이스 장관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1999년 자신들이 서명했고, 2002년 재확인한 모라토리엄(시험발사 유예)상의 의무를 포기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이런 가운데 AP통신은 이날 익명을 요구한 미국 관리들이 각종 정보로 볼 때 대포동 2호로 믿어지는 장거리 미사일은 조립을 마치고 연료가 가득 주입된 상태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뉴욕타임스도 “위성 사진들을 관측한 결과 로켓이 발사대에 장착됐으며, 액체연료탱크도 미사일 발사를 위해 준비된 것으로 보인다”며 북한이 미사일 시험 발사를 강행할 가능성이 높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보도했다.日 “연료 주입 확실히 마무리”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는 19일 기자화견에서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하면 미국 등과 협의해 강경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줄곧 말해왔듯이 북한이 핵무기를 개발해 얻을 이익은 없다”면서 “각국과 연대해 미사일을 발사하지 말도록 북한에 요청하고 있으며 지금도 발사하지 않기를 기대한다”면서 이렇게 강조했다.이런 가운데 마이니치 신문은 19일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의 시험 발사를 위해 연료 주입을 확실하게 마무리했다”고 보도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