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시장 최성)는 시민들이 SFTS(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일명 살인진드기)에 대해 갖고 있는 막연한 공포와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 가장 자주 문의되는 질문 10개에 대해 Q&A를 배포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대국민 예방수칙을 안내하며, 여름철 야외활동이나 작업에 나서는 시민들이 해당사항을 꼭 숙지할 것을 당부했다.
더 자세한 사항은 3개 구 보건소(덕양구보건소 8075-4058, 일산동구보건소 8075-4135, 일산서구보건소 8075-4212)에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방법
△ 긴팔, 긴바지, 양말 등 피부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긴 옷 착용
△ 등산, 트래킹 등 야외활동 시 기피제를 준비해 뿌릴 것
△ 작업 및 야외활동 후에 즉시 샤워나 목욕을 하여 진드기를 제거할 것
△ 작업 및 야외활동 후 작업복, 속옷, 양말 등 세탁할 것
△ 풀밭 위에 옷을 벗어 놓고 눕거나 잠을 자지 말 것
△ 풀밭 위에 돗자리를 펴서 앉고 사용한 돗자리는 세척해 햇볕에 말릴 것
△ 논밭 작업 중 풀숲에 앉아서 용변을 보지 말 것
△ 작업 시 기피제 처리한 작업복과 토시를 착용하고, 소매와 바지 끝을 단단히 여미고 장화를 신을 것
SFTS(살인진드기) Q&A
순서 | 질문 | 응답 |
1 | 얼마 전 진드기에 물렸으나 현재 아무 증상이 없다. 어떻게 해야 하나? | 현재 국내에 서식하는 작은소참진드기의 100마리 중 99마리는 SFTS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SFTS에 걸리게 될 가능성은 극히 낮습니다. 하지만, 진드기에 물린 뒤 6-14일의 잠복기 이내에 38~40도에 이르는 고열이나 구토, 설사와 같은 소화기 증상이 있으면 가까운 의료기관에 방문하셔서 진료 및 검사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2 | 물린 진드기를 보관하고 있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 | 진드기가 확보된 경우, 의심소견을 보이는 환자에 한하여 우선적으로 SFTS 바이러스 보유 여부를 확인해 드리고 있습니다. |
3 | 작은소참진드기의 생김새는 어떤가? | 작은소참진드기의 크기는 약 2~3mm, 몸은 갈색빛을 띄고 있습니다만, 날개는 없습니다. |
4 | 우리집 애완동물에서 진드기를 발견했는데 이것이 작은소참진드기 아닌가? | 작은소참진드기는 주로 우거진 풀숲이나 야산 등에 분포하고, 일반적인 도시환경에 흔하게 서식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흔히 집에 있는 것으로 알려진 집먼지진드기와도 완전히 다른 종류입니다. |
5 | 의심신고환자들을 주로 어느 지역에 있나? | 의심신고환자는 확진환자와 다릅니다. 진드기가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어, 의심환자들은 특정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일 5-7건이 전국적으로 신고 되고 있습니다. 의심환자는 SFTS가 아닌 경우가 있으며, 지금까지 확진된 환자는 2명입니다. |
순서 | 질문 | 응답 |
6 | 가장 좋은 예방대책은 무엇인가? | SFTS는 주요 매개체인 진드기에 물리지 않으면 걸리지 않는 질환입니다. 진드기와 접촉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예방수칙 참조) |
7 | 어떤 기피제를 사용해야 하는가? | 일반적으로 기피제는 진드기가 좋아하지 않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진드기에 대한 접촉을 줄이는 보조적 수단으로 쓰일 수 있습니다. 해충기피제 형태의 제품으로 가까운 약국, 마트 등지에서 구하실 수 있습니다. |
8 | 애완동물 또는 가축이 진드기에 물렸다. 어떤 조치를 취해야하나? | 작은소참진드기에 물린다고 해서 반드시 SFTS에 감염되지는 않습니다. 특히나 동물에 의한 인체 감염은 보고된 바 없습니다. |
9 | 진드기가 도시에 존재 하는가? | 도시지역 수풀이나 시가지 주변 풀숲에도 드물게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런 장소에서 활동시에는 동일한 예방수칙을 권고합니다. |
10 | 가족 간 혹은 사람 간의 전파는? | SFTS는 진드기와 같은 매개체를 통해 감염되는 특성을 가진 질환입니다. 호흡기로 전파가 일어나는 질환들과는 달리, 매개체가 존재해야만 SFTS 바이러스 감염이 발생할 수 있어, 일상적 생활환경에서는 사람 간 전파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