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거사 진상규명 · 현대사 연구 탄력 받을 듯
반민특위, 6·25전쟁, 5·16 쿠데타, 삼청교육대, 광주민주화 운동 등 현대사 중요 사건에 관한 정부기록이 대거 발견됐다. 이 기록은 과거사 진상규명과 현대사 연구에 획기적인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은 21일 지난해 10월부터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 등 123개 기관을 대상으로 주요기록물 보존실태를 조사한 결과 이같은 기록이 상당수 보존돼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국가기록원은 22일부터 이번 조사결과 확인된 기록물 중 상당수를 홈페이지(www.archives.go.kr)에 게재하고, 비공개 기록물도 재분류해 해당 기관에서 열람할 수 있도록 서비스할 예정이다. 국가기록원이 확인한 삼청교육대 사건 기록물은 국방부가 1376권, 국가기록원 50권, 법무부 3권 등 1429권에 이르는 방대한 양이다. 삼청교육대 계획수립부터 사후관리까지 망라돼 있어 사건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다. 6·25 전쟁 기록물도 대거 확인됐다. 국방부에는 1950년 6월 25일 전쟁 발발 이후 3년 1개월에 걸쳐 전투상보와 작전명령, 작전일지, 포로관련철, 부대역사일지 등 4516권의 자료가 보관돼있다. 이승만 전 대통령 시절 국무회의 기록에서 이 전 대통령이 반민특위에서 친일파를 조사한 뒤 선처하라는 지시를 내린 사실 등 반민특위 관련 기록도 21건이 확인됐다. 1949년 2월 9일 국무회의 기록에 따르면 이 전 대통령은 '의명친전(依命親傳)'의 형식으로 반민법 제5조 해당자인 정부내 친일파를 비밀조사해서 선처하라"고 지시한 것. 5·16 쿠데타와 동시에 최고의 권력기구로 군림했던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실 일지도 공개됐다. 일지는 개별 사안에 대해 서술형으로 풀어 쓴 기록은 아니지만 국가재건최고회의의 활동상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다. 국가기록원은 이번 기록물 실태조사 결과 1962년과 1968년, 1975년 세 차례 걸쳐 '누적문서 정리 및 영구보존 문서 소산계획'에 따라 대대적으로 문서를 폐기해 기록물의 보존이 부실하다고 진단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