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시는 클린에너지파크(대소원면 두정리 쓰레기소각시설)가 주변 환경피해를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클린에너지파크 굴뚝원격감시체계(Tele-Monitoring System, 이하 `TMS`)운영 관련, 주민불신대책으로 HCL가스측정기기 교체와 열감지기센서를 부착하고, 표준 가스밸브를 상시 개방해 한국환경공단(중부권관제센터)에서 원격감시토록 운영하고 있다.
또 법적기준치 초과 시 주민들에게도 휴대폰 문자메세지(SMS)가 전송되도록 하는 등 투명성을 추가로 확보했다.
시 관계자는 “앞으로 `TMS`의 측정기기와 관제센터간의 양방향 통신체계를 구축해 측정값을 수시 확인하고 HCL분석치도 0.4ppm(법적기준치20PPM)으로 안정적으로 운영하겠다”고 했다.
시는 오는 8월말까지 정밀기술진단을 통해 운영관리의 문제점이 나타나면 시설의 최적화 방안을 마련해 주변의 환경과 부합되는 클린에너지파크로 운영할 계획이다.
시는 지난해 3월부터 올 2월까지 1년간 환경영향조사 전문업체에 의뢰해 클린에너지파크에 대한 사후환경영향조사도 실시했다.
이 결과는 클린에너지파크의 대기질(다이옥신), 악취, 지표수질, 지하수질, 토양(다이옥신), 소음·진동 등이 지난 2010년~2011년 평균값보다 낮거나 유사한 농도로, 소각시설 운영에 따른 주변의 환경피해는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했다.
한편 지난해 말, 클린에너지파크 소각장 관리직원 4명이 양심선언을 통해 "쓰레기소각장 굴뚝의 필터 볼트를 풀어 염화수소가스 배출 농도를 기준치(20ppm) 이하로 낮추기 위해 감시시스템인 "TMS" 수치를 조작했다"고 폭로, 파문이 일었다.
또 위탁업체의 불법재위탁과 근로자 임금 등을 착복했다는 의혹을 제기, 시청에서 농성을 벌이는 등 논란도 일었다.
클린에너지파크는 지난 2008년 착공, 2010년 하루 100t의 쓰레기 처리소각장과 30t 처리규모의 재활용 선별장, 친환경 기술정보센터, 주민편익시설(수영장 등) 등을 갖추고 완공됐으나, 그간 인근 주민들과의 갈등과 반목이 거듭돼 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