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여성유권자연맹 충주지부가 6일 기자회견을 통해 충북경제자유구역청 충주유치의 타당성을 주장했다.
이들은 이날 성명에서 "충북도는 충북경제자유구역청과 관련 청주권과 충주대립의 여론을 형성하지 말고, 충분한 토론과 토의를 통해 도민 공감대를 형성하길 당부한다"며"만약 양 자치단체간 대립구도로 추켜세우는 불순한 세력이 있다면 이를 좌시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또 "경자청 유치를 정치적 논리나 지역적 대립논리로 몰지 말고, 대화를 통한 공감대 형성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며"차후 청원군을 방문해 청원군시민사회 단체들과 대화를 통해 해결하도록 노력하겠으며, 이를 대립적 정치적 논리로 펴는 정치인이 있다면 낙선운동까지 전개하겠다"고 공표했다.
이들은 "지난 1월 충북발전연구원의 연구결과 충북 경쟁력 저하의 원인이 청주권과 여타 지역간 불균형 때문이란 분석이 있다"며"청주권에 도내 전체 인구의 52%, 전체 사업장의 46%, 고용의 51%가 집중돼 있고, 오송지역은 식품의약품안전청 등 보건의료 6대 국책기관입주와 함께 세종시 배후도시 건설로 집중현상 더욱 심화되고 있다"고 피력했다.
이들은 "기존 6개 경제자유구역청의 주사무소는 대부분 시ㆍ도청 소재지보다는 개발이 가장 많이 포함된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며 "실례로 전북지역은 구역청의 주사무소를 전주에서 군산으로 이전, 황해(충남) 지역 또한 당진에 사무소 설치했다"고 제시했다.
특히 충북과 함께 지정된 강원지역 또한 사업수요가 가장 많은 동해에 사무소 설치가 예견되고 있다고 예시했다.
이들은 충북경제자유구역의 조기 성공을 위해선 구역청이 도청 내 부속기관이 아닌, 독립기관으로 개발지구내에 설치돼 자율성과 독립성을 확보하고, 동시에 신속하고도 효율적 행정서비스 제공이 필요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경자청 인적구성에 대한 개선방향도 제안했다.
이들은 "최근 정부 부처가 구역청장 등 30% 이상의 직원을 외자유치에 탁월한 외부인사 개방형으로 채용유도하는 상황으로, 충북경자청도 전문인사로 포진되는 것만이 성공을 담보하는 길이다"며 수도권 규제완화저지와 국토균형발전, 충북균형발전이라는 차원에서 충북경자청 충주유치를 주장한다"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