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조촌·동산동 일대‘농식품기업 성장지역’으로 육성!
▶전주 농식품산업 대도시 소비시장 겨냥, 식품원료생산기지 거점지 역할
▶ 농식품기업 협의체 형성, 전주시 인프라 확충 등 농식품기업 성장지역 견인 계획
▶송하진 시장, 농식품기업 대표 10여명과 현장에서 생~생 간담회
○ 전주시가 전주 농식품산업이 대도시 소비시장을 끼고 있는 장점을 살리고 음식창의도시에 걸맞는 신선한 식품원료 생산기지로서의 역할을 위해 농식품기업단지가 형성되며 급부상 중인 동산·조촌지역 일대를 ‘농식품기업 성장지역’으로 키워 나가기로 했다.
○ 송하진 전주시장은 15일 동산·조촌지역 일대 농식품기업 현장을 찾아 2013년도 새해 첫 민생 현장체험 행보를 갖고 이 같이 밝히고, 전주에 거점을 둔 농식품산업 발전을 견인하겠다고 설명했다.
○ 송 시장은 이날 전주지역 농식품산업이 균형 있게 발전할 수 있도록 관련 농식품기업 대표 10여명과 용정동 우리밀 가공공장에서 직접 현장간담회를 갖고 이 같은 계획을 전달했다.
○ 농업생산을 맡고 있는 부공영농조합 정수영 대표(파프리카)는 간담회에서 “첨단 유리온실과 지열난방을 하고 있어 그나마 에너지 비용이 덜 든다 해도 각종 농자재 가격 및 인건비 상승으로 경영난을 겪고 있다”고 현실적인 어려움을 토로했다.
○ 우리밀 가공공장 신지호 대표는 “국산 밀 자급률은 2% 정도에 불과한 실정에서 우리 밀은 국제 밀 가격에 민감해 가격이 비싼 우리 밀(수입산 가격의 1.5배 정도) 소비와 판로에 애를 먹고 있다”며 “시민 건강증진을 위해서라도 소비에 많은 관심을 가져 달라”고 요청했다.
○ 송 시장은 이들 농식품 기업대표들에게 “조촌동과 동산동 지역에서 농식품기업 활동이 원활해지도록 지금까지 직·간접적인 지원을 해왔다”면서 “앞으로는 도로상황 개선 등 인프라를 적극 확충해서 농식품 관련 산업이 성장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송 시장은 특히 “농식품기업 및 법인 대표들이 자주 만나 농식품포럼 등 협의체를 형성하고, 지역농업인과 농산물 원료에 대한 계약재배와 지역사회 순환농업에도 관심을 가진다면 보다 더 나은 기업의 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보탬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이들 기업체들이 농식품포럼을 만들어 주기적으로 모임을 통해 상호 정보를 교환하고, 일자리를 만들어 내고,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일, 관련 산업 클러스터를 만들어 경쟁력을 높여 나가는 방안 등을 협력해 간다면 더 큰 시너지 효과를 올릴 수 있을 것이며 전주시에서도 이를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
○ 전주시 조촌·동산동 지역은 호남고속도로 전주 나들목 부근에 있어 시내·외 접근성이 쉽고, 다른 지역에 비해 토지가격이 저렴하고 농산물 계약재배에 따른 원료수급이 원활한 이점이 있어 현재 자연스럽게 농업 관련 영농조합법인 및 농식품기업이 밀집해 하나의 농식품 성장 벨트를 형성해 나가고 있는 중이다.
○ 쌀과 우리밀, 보리 등 주 농산물과 파프리카 대규모 생산 유리온실 운영, 막걸리(전주주조), 쌀과자·제빵(강동오케익), 배 원료 이용 술(이강주)을 비롯해 중부권 최대의 화훼종합유통센터(로즈피아), 밑반찬(찬드림) 등의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가 줄줄이 들어서 있다.
농식품 법인·기업현황 ○ 농식품 법인·기업수 : 10개소
- 농산물 재배·생산시설 : 2개소 (화훼종합유통센터 1, 파프리카 법인 1)
- 농식품 가공·유통시설 : 8개소(우리밀 1, 쌀 2, 축수산물 3, 기타 2)
○ 지 원 액 : 177억원(화훼·파프리카 92, 우리밀·쌀 52, 축수산가공 10, 기타 23)
○ 매 출 액 : 362억원(화훼·파프리카 127, 우리밀·쌀 49, 축수산가공 180, 기타 36)
○ 고용인원 : 224명 (화훼·파프리카 69, 우리밀·쌀 43, 축수산가공 73, 기타 39)
○ 송 시장은 이와 관련 “전주 북부권에 해당하는 조촌동, 동산동 일원의 산업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충해 나가고, 계절별 시민 수요를 파악해서 체험·관광 연계 프로그램도 개발하겠다”며 “농식품기업들이 이전해 올 수 있도록 노력하고 이는 결국 일자리 창출과도 연계하는 시책사업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송 시장은 또 “뿐만 아니라 앞으로 신규 농식품기업들이 정착할 수 있도록 이전 희망을 받아서 생산·가공·유통 클러스터를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송하진 시장은 “이 같은 계획은 결국 농식품기업이 지역생산 농산물을 농업인들로부터 안정적으로 공급받아 지역에서 가공하고 유통할 수 있는 농산물 생산-가공-유통이 연계된 순환시스템을 만들어 내게 될 것”이라며 “소득이 다시 생산농가 및 지역사회로 환원되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전될 수 있다”고 말했다.
<자료제공부서 및 문의처 : 전주시 친환경농업과, 281-5069>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