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결핵환자 수가 줄고는 있지만 선진국에 비해 여전히 많고 사망률 또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보건복지부와 대한결핵협회는 지난해 보건소나 민간 병, 의원에서 새로 결핵진단을 받은 환자는 모두 3만2천10명으로 2001년(3만4천1백23명)에 비해 6% 줄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러한 국내 결핵발생률은 인구 10만 명 당 67.2명으로 일본(10만명 당 27.9명)의 2.4배, 미국(5.6명)의 12배 수준이다. 또 우리나라 결핵사망률은 OECD 30개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인구 10만 명 당 6.7명이다. 국내 전염병 사망자 중에서도 결핵환자가 가장 많은 55.7%를 차지하고 있다.
연령대별로 보면 70대(10만 명 당 1백98.9명), 60대(1백24.9명) 다음으로 20대(90.3명)가 차지했다. 이에 관해 결핵협회 관계자는“대학에 들어가 취직하기 전까지 건강관리에 소홀한 경우가 많다”며“결핵예방 접종의 면역력이 떨어지는 20∼30대는 주기적으로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