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8년 외환위기(IMF) 실업대란 이후 국민의 눈물어린 성금으로 실업극복 사업을 벌여온 실업극복국민운동위원회가 공익법인으로 새 출발한다.
실업극복국민운동위원회(공동위원장 강원용 평화포럼이사장, 김수환 추기경, 송월주 전 조계종 총무원장)는 지난 1일 회의를 열고 현 위원회를 해산, 위원회의 모든 권리와 의무를 새로 설립되는 공익법인인 가칭‘일할 수 있는 사회’에 승계하기로 결의했다.
이에 따라 다음 달 중에 새로 설립될 공익법인은 노동부로부터 잔여 실업성금 435억 원을 출연받아 실업관련 민간운동을 벌여나가게 된다.
새 법인은 정부실업대책의 사각지대에 놓인 저소득 중 고령자, 장기실업자, 학교를 중퇴한 실업자, 사회적 일자리 창출, 국민의식 개혁운동, 실업자 상담 등의 사업을 전개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위원회는 지난 2000년 말부터 실업률이 낮아지자 성금의 사용처와 위원회 존폐여부 등을 놓고 고민을 거듭해오다 성금의 취지를 살려 실업관련 민간운동을 지속키로 의견을 모은 뒤 재단법인 형태의 공익법인 설립을 추진해왔다.
위원회 성한표 상임운영위원장은“사업 중 변화된 상황에 맞지 않거나 비효율적인 것은 정리하고 철저한 조사연구로 새로운 사업방향을 설정해 실업자들이 가장 원하는 사업을 할 계획”이라며 “잔여 성금 외에 캠페인 등을 통해 추가로 재원을 조성해 사업기금으로 사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편, 공익법인의 운영에는 강원용, 송월주 공동위원장과 최기산 주교, 이세중 변호사, 등이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98년 6월 출범한 위원회는 국민의 성금 1천142억 여 원 가운데 851억 원을 들여 지난 5년 간 실직자가정돕기범국민결연사업, 실업극복지원센터, 실직노숙자지원사업 등의 기획사업과 실직여성 겨울나기, 사랑의 도시락 등 제안공모사업을 벌여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