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환경문제를 제기하여 시민단체들의 청계청복원사업 착공 연기를 주장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 16일 이명박 시장은 “공사에 필요한 설계, 법적 절차, 시공업체 선정 등을 거쳐 예정대로 7월 착공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청계천복원 착공 연기 의향을 묻는 시의회 의원의 질문에 이명박 시장은 “착공을 늦춘다면 교통을 전면 통제하고 2년 10개월에 걸친 고가도로 보수공사에 착수해야 하는 실정”이라며 “보수공사와 이후 복원공사까지 공사 기간이 5년 이상 소요돼 시민과 주변 상인의 불편만 가중될 뿐 아니라 보수공사에 따른 1천억원의 예산을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물 공급방안과 복원방법의 기술적 문제, 교통대책 준비 미흡, 상인대책 등 착공 연기 주장의 논거 중 타당성이 있는 부분은 착공 이전에 반영할 기회가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본다”며 “교통대책에 따른 경찰과의 협의는 현재 원만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달까지 완료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경실련과 녹색연합 등 사회단체와 각계 인사들은 기자회견에서 “청계천 복원공사 착공 시기는 입찰 결과에 대한 평가 및 시민 합의 이후로 연기돼야 한다”며 “의견이 반영되지 않아 타당성이 없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7월 착공을 저지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벌여 나갈 계획”이라고 지난 8일 밝힌바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