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 사회에서 학교생활 등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해 힘겨워 하는 탈북 아동들을 위한 공부방 시설이 처음으로 문을 열었다.
그곳은, 탈북자들이 모여 사는 서울 양천구에 자리잡은 ‘한누리 학교’
한달 전 주택가 건물 3층에 마련된 이 곳에는 방 3칸에 부족한 교과목에 대한 보충수업을 받을 수 있는 공간과 장난감 등을 통해 학교생활에서 겪은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는 놀이치료실이 마련돼 있다.
이곳에는 지난 2000년부터 북한을 빠져 나온 탈북 아동 중 초등학생 7명, 중학생4명 그리고 미취학자 2명 등 모두 13명이 보충수업과 상담치료를 받고 있다.
‘한누리 학교’의 설립 준비는 탈북 아동·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을 돕기 위해 교육자와 전문가들이 모여 2001년 결성한 단체인 ‘남북문화통합교육원’의 주도 아래 지난해 11월부터 진행됐다.
탈북 아동들이 남한의 초·중학교에 편입돼 생활하는 과정에서 자의반 타의반으로 탈북자라는 점을 밝히지 못한 채 정체성 혼란을 겪으며 또래 친구들과 제대로 어울리지 못한 채 지나치게 소극적이거나 주의가 산만해지는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 교육 및 심리 치료가 필요해졌기 때문이었다.
공부방을 방문한 탈북 아동들은 처음에는 서먹해 했지만 같은 말씨를 사용하는 비슷한 상황에 있는 친구들과 함께 하면서 점차 얼굴에 환한 웃음꽃을 피우며 학교생활에서의 스트레스에서 벗어나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선천성 심장병으로 인한 발육부진으로 18살로 보이지 않는 철수(가명)군은 북한은 물론 남한에서도 병 때문에 학교를 다니지 못하다가‘한누리 학교’에서 처음으로 학교 다니는 즐거움을 느끼게 돼 기본적인 한글을 배우는 단계이지만 누구보다도 기뻐하고 있다.
철수군의 누나 영희(가명)씨는 “철수가 TV 자막에 나오는 한글을 보고 한 글자씩이라도 맞추곤 할 때면 너무나 기뻐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화여대 동아리 학생들이 자원활동가로 나서 아이들에게 교과목도 가르쳐 주고‘언니, 누나’로서의 따뜻한 정을 전해주는 것도 남한 아이들과의 생활에서 힘겨워하던 아이들에게는 더없이 좋은 선물이다.
‘남북문화통합교육원’의 신국균(32) 사무국장은 “남한 사회라는 새로운 공간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며 그때까지 안전망이 필요하다”며“ 한누리 학교가 그 같은 안전망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또, 이 학교의 강희석(36.여)교사는 “통일의 길목에서 조금 일찍 만나는 탈북 아동들인 만큼관심을 갖고 그들의 아픔을 보살펴야 한다”며 “앞으로 남북 학생이 함께 어울리는 진정한 의미의 통합 교육도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