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암센터(원장 이진수, http://www.ncc.re.kr)는 우리나라 성인 4,1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2012년 암검진 수검행태 조사」결과를 발표하였다.
[수검률 분석 주요결과]
◇ 2012년 우리나라 국민의 암검진 권고안 이행 수검률은 63.4%로, 조사가 시작된 2004년 대비 24.6% 포인트 증가하였다.
○암종별 권고안 이행 수검률은 유방암이 71.0%, 위암은 70.9%로 올해 처음으로 70%를 넘어 ‘암정복 2015’의 ‘암검진 권고안 이행 목표 수검률 70%'를 조기달성하였다. 자궁경부암은 67.9%, 대장암은 44.7%, 간암(고위험군)은 21.5% 이었다.
○2004년부터 2012년까지 암종별 수검률의 증가폭은 위암과 유방암이 각각 31.7% 포인트, 37.8% 포인트로 크게 증가하였다.
○간암과 대장암의 수검률은 각각 21.5%, 44.7%로 ‘암정복 2015’의 ‘암검진 권고안 이행 목표 수검률 70%'에 크게 못 미쳐 수검률 증가를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단위로 검진을 시행하고 있는 암종별 수검률을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유방암은 미국
78.0%로 우리나라 유방암(71.0%), 자궁경부암(67.9%) 수검률이 더 낮은 수검률을 보였다(붙임 4 참조).
◇ 전체적으로 2012년 암검진 수검률은 여성이 64.9%, 남성이 59.6%로 여성이 남성보다 암검진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종별로 성별에 따른 수검률의 차이를 보면 위암(여성: 72.0%, 남성: 69.8%)은 여성의 수검률이 남성에 비해 높았고, 간암(여성: 12.4%, 남성: 24.1%)과 대장암(여성: 42.8%, 남성: 46.7%)은 남성의 수검률이 더 높았다.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유방암과 자궁경부암 검진 수검률은 각각 71.0%, 67.9%로 70%내외의 높은 수검률을 보였다.
◇ 암검진 권고안을 이행한 수검자 중에서 국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실시하는 암검진을 받은 비율(공공검진이 차지하는 비율)은 2004년 45.7%로 절반에 못 미쳤으나 매년 꾸준히 증가하여 올해 83.4%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공공검진의 지속적인 증가는 국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지원하는 암검진에 대한 참여가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이는 공공검진의 질 향상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의 결과로 공공검진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도가 증가하였다는 것을 반영한다.
[ 검진 동기 분석 결과 ]
◇ 2012년 수검자들이 암검진의 주된 동기로 답한 것은 ‘공단 혹은 보건소의 검진 통보를 받고‘ 라는 응답이 58.6%로 반 이상을 차지하였고, 이어서 ’건강이 염려되어‘ (25.3%), ’직장의 단체종합검진(6.0%)‘, ’몸에 이상증상을 느껴서(4.8%)‘, ’주변사람의 권유(3.7%)’ 순이었다.
○모든 암종에서 ‘공단 혹은 보건소의 검진 통보를 받고‘ 라는 응답이 검진 동기에서 1위를 차지했고, ’건강이 염려되어‘ 검사를 받았다는 응답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미수검 이유 분석 결과]
◇ 2012년 암검진 미수검의 가장 큰 이유는 ‘건강하기 때문에’였으며, 이어서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와 ‘검사과정 힘듦’,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 였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경제적 여유가 없다’, ‘검사과정이 힘듦’, ‘암 발견의 두려움’이라는 응답의 비율이 높아졌고, 젊은 연령층일수록 ‘건강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2004년~2012년 미수검 이유의 추이를 살펴보면, ‘건강하기 때문에’ 암검진을 받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이 2004년 71.2%였던 것이 매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2년에는 40.3%로 30.9% 포인트 감소하였다. 반면,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 암검진을 받지 않았다는 응답은 2004년 6.8%였던 것이 2012년에는 27.2%로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붙임 1> 조사 개요
□ 조사 목적
- 우리나라 암검진 수검률에 대한 기초 자료의 확보
- 국가암검진사업에 따른 암 검진 수검률 변화 파악
□조사 방법
- 모집단 : 전국의 암진단을 받지 않은
만 40세 이상 남자, 만 30세 이상 여자
- 표본크기 : 4,140명(유효 표본)
- 표본추출방법 : 지역별 인구수 비례 무작위 추출
(통계청의 ‘2010년 인구 총 조사’를 기준으로 성별, 연령별, 시도별 인구수에 비례하여 다단계 층화 무작위 추출방법을 통해 표본을 추출)
- 표본오차 : ± 1.52%포인트 (신뢰수준 95% )
- 자료수집도구 : 구조화된 설문지
- 조사방법 : 개별방문을 통한 1:1 면접조사
- 조사기간 : 2012년 8월 30일~9월 29일
- 조사실시 기관 : (주)메가리서치
<붙임 2> 용어 설명
□ 권고안 이행 수검률
암 검진이 필요한 대상연령 인구 가운데 국가암검진 프로그램에서 권고하는 검진주기에 따라 암 검진을 받은 수검자 수의 백분율로 정의함
권고안 이행 수검률 = 권고안에 따라 암 검진을 받은 수검자 수/해당 암종 검진 대상연령 인구수x 100(%)
□ 공공검진
(Organised Screening, Mass Screening, Population screening)
대규모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조직화된 검진 프로그램에 의해 대상자가 선정·통보 되고, 검진이 수행·평가 되는 검진의 유형으로, 본 조사에서는 국가에서 실시하는 국가암검진사업과 공단의 특정암검사를 의미함
□ 민간검진
(Opportunistic screening, Individualized screening)
정해진 검진 프로그램에 의해서가 아닌 개인의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검진의 유형으로, 본 조사에서는 개인이 100% 비용을 부담하여 받는 종합건강검진을 의미함
<붙임 3> 국가암검진사업 소개
□ 국가암검진사업의 5대암 검진 권고안
암종 | 검진대상 | 검진주기 | 검진방법 |
위암 (‘99 도입) | 40세 이상 남녀 | 2년 | 위내시경 검사 또는 위장조영검사 |
간암 (‘03 도입) | 40세 이상 남녀로 고위험군1) | 1년 | 복부초음파검사 + 혈청알파태아단백검사 |
대장암2) (‘04 도입) | 50세 이상 남녀 | 1년 | 분변잠혈반응검사: 이상소견시 대장내시경검사 또는 대장이중조영검사 |
유방암 (‘99 도입) | 40세 이상 여성 | 2년 | 유방촬영술 + 의사에 의한 임상진찰 권장 |
자궁경부암 (‘99 도입) | 30세 이상 여성 | 2년 | 자궁경부세포검사 |
<붙임 4> 2004-2012년 권고안 이행 수검률
대상 암종 | 권고안 이행 수검률(%) |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04‘-12’ 증감 | ||
위암 | 39.2 | 39.4 | 43.3 | 45.6 | 53.5 | 56.9 | 65.1 | 64.6 | 70.9 | 31.7 | |
간암 | 일반군 | 7.7 | 10.5 | 10.8 | 11.6 | 12.3 | 14.8 | 15.5 | 1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