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녹색소비자연대 성능시험, 연비 높고 오염 적게 배출
세녹스를 둘러싸고 정부와 업계, 시민단체 간의 논쟁이 또다시 불붙고 있다.
녹색소비자연대는 지난27일 기자회견을 갖고 ▲오염물질 배출 ▲연비 ▲엔진 부식성 등을 중심으로 한 세녹스와 휘발유 비교실험결과를 발표했다.
이 단체의 주장은 세녹스가 휘발유에 비해 대기오염 저감효과가 있으며 연비도 우수하고 알코올 성분으로 인한 엔진부식 우려도 없기 때문에 “환경부와 산업자원부가 소비자의 요구를 겸허하게 받아들여 정책적 문제점을 개선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차량 정비업체를 회원사로 둔 자동자정비공학회가 이 단체의 의뢰를 받아 실험한 결과 세녹스(휘발유 60%에 세녹스 40%를 섞은 제품)가 휘발유에 비해 이산화탄소는 6%, 탄화수소는 62.2%, 질소산화물은 23.7% 덜 내뿜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비 또한 휘발유보다 최고 14%까지 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단체는 또 환경기술연구소에 의뢰해 3시간 가량 엔진 부식성을 실험한 결과에서도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세녹스가 자동차 연료첨가제이고 오염물질 배출을 줄이는 역할을 하는 메틸알코올을 원료로 제조된다는 점에서 대기오염 저감효과가 있다는데 대해 이견이 없다.
그렇지만 경제성이나 엔진 부식성 문제에서는 이번 실험 결과만 갖고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리터당 원가가 휘발유는 405원, 세녹스는 440원으로 휘발유와 마찬가지로 860원가량의 세금이 세녹스에 부과된다면 경제성에서 휘발유에 뒤질 것이라는 주장이다.
환경운동연합 소속 에너지대안센터도 법정공방으로 번지고 있는 세녹스에 대해 “메틸알코올이 함유된 것 말고는 휘발유와 성분이 비슷하다”면서 “엔진 세정을 위한 연료첨가제가 아니라 유사석유제품”이라고 못박았다.
그렇지만 연료첨가제인지 유사석유제품인지를 골자로 한 세녹스 문제가 법정논쟁으로 비화된 상황에서 정부-업계, 단체-단체간 논쟁은 한동안 계속될 전망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