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압구정-이수-이촌-원효 안전진단 거쳐야 재건축
지난 70년대 건립된 서울 시내 13개 고밀도 아파트지구를 지구별 특성에 맞게 개발하기 위한 지구개발 기본계획 변경이 본격 추진된다.
서울시는 압구정, 이수, 이촌, 원효, 가락 등 5개 고밀도 아파트지구에 대한 개발 기본구상 현상공모 계획을 4일 공고했다.
고밀도 아파트지구는 지구개발 기본계획이 아직까지 수립되지 않았거나 수립됐더라도 70년대 당시의 용적률과 높이 등을 그대로 적용, 그동안 재건축을 위한 새로운 기본계획 수립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이번에 개발 기본계획 변경이 추진되는 곳은 강남구 압구정동 일대 압구정지구 105만㎡와 서초구 방배동 이수지구 8만3000㎡, 용산구 이촌동 이촌지구 11만7000㎡, 원효로4가 원효지구 2만7000㎡, 송파구 송파동 가락지구 11만4000㎡ 등이다.
시는 9월 지구별 최우수작을 선정, 내년 12월까지 계획을 변경할 예정이다.
지구개발 기본 구상은 각 지구의 공간 체계와 토지 이용, 교통 처리, 도시 경관, 주택 및 공공시설의 배치와 규모 등을 담게 된다.
서울시는 ▲환경-교통-인구-재해 영향평가를 통해 재건축에 따른 문제점을 최소화할 것 ▲도시 관리정책에 부합되도록 환경 친화적 토지 이용계획을 수립할 것 등을 기본구상 기준으로 제시했다.
시는 또 최근 지구개발 기본계획 변경 용역이 진행중인 서초와 반포, 잠실지구 등 3개 지구는 내년 2월까지, 최우수작 선정을 거쳐 현재 용역 계약 체결을 준비중인 청담-도곡과 서빙고, 여의도지구는 내년 12월까지 각각 계획을 변경할 방침이다.
시는 “이들 고밀도지구는 기본계획 변경 없이 재건축이 추진되면서 도로와 공원, 학교 등에 대한 과부족과 과밀개발로 인한 경관 훼손 등의 문제가 우려돼왔다”며 “그러나 개발 기본계획 변경 후에도 안전진단 등의 과정을 거쳐야만 재건축여부가 결정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