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설계사와 학습지교사 10명중 4명은 고객이 보험계약이나 과목을 해지하려고 할 때 보험료나 과목비를 대신 납부해주는 등 불법영업을 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노동연구원은 지난 6월부터 7월초까지 보험설계사 262명과 학습지 교사 206명 등 모두 4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41.2%인 193명이 고객 유지율을 떨어뜨리지 않기 위해 고객대신 보험료나 과목비를 낸 적이 있다고 29일 밝혔다.
수입에서 수당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보험설계사와 학습지 교사는 고객 유지율이 하락하면 수당을 삭감당하는 등 인사상 불이익을 받기 때문에 모집질서 위반에 해당되는 불법영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같은 조사결과가 설문을 통해 이뤄진 점을 감안하면 실제로는 보다 많은 보험설계사와 학습지 교사가 이런 대납행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대납행위 사례는 보험설계사에게 더 많았다.
보험설계사 262명중 절반 가량인 122명(46.6%)이 대납을 하고 있다고 대답했다.
월평균 대납건수는 4.26건이었고 대납금액은 55만7천원이었다.
학급지 교사중 34.5%인 71명이 회원을 대신해 과목비를 내준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월평균 대납 과목건수는 3.0건(금액 10만7천원)이었다.
이와함께 보험설계사의 소득 산정방식은 대부분 성과급이었다. 성과급이 78.2%(205명)로 가장 많았고, 고정+성과급 18.3%(48명), 고정급 3.4%(9명) 등이었다.
연평균 본인 및 가족 보험료로 무려 970만원이나 지출하고 있는 설계사의 실질적인 연평균 소득은 1천513만원이었다.
반면 보험설계사와는 달리, 고정과 성과급이 혼합돼 소득이 산정되는 쪽은 학습지교사가 더 많았다. 고정+성과급이 45.1%였고 성과급이 42.7%, 고정급 12.1% 등의 순이었다.
학습지 교사의 연평균 실질소득은 1천654만원으로 조사됐다.
보험설계사의 학력은 고교 졸업(61.9%)이 주류를 이룬 반면 학습지교사는 대학교 졸업이상(79.5%)이 대부분이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