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년간 가격 상승 폭이 커서 최근 부산지역 가운데 가장 극심한 가격 급락을 보이고 있는 서부산권-강서구, 북구, 사상구, 사하-소재 공인중개사사무소를 찾아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봤다.
현장에서는 추석 이후 본격 이사철로 접어들었지만 호가는 있으나 거래는 되지 않는 '거래 실종' 상태에 빠졌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부산 강서구 명지오션시티 내 롯데캐슬공인 손영순 소장은 "명지오션시티 내 아파트는 강서구를 대표하는 주거단지이기 때문에 녹산, 화전, 신호산업단지 일대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지역이다.
이로 인해 현재 전세 물량은 전혀 없는 상태여서 전세 가격은 상승하고 있다. 롯데캐슬 110㎡는 전세 가격이 1억 7천만 원 정도이지만, 매매가는 2억 8천만 원 내외로 시세가 형성돼 있다"고 전했다.
손 소장은 현재 분위기가 너무 침체돼 있고 대규모 물량이 명지오션시티와 명지국제신도시, 지사산단 등에서 올해 말까지 공급돼 전세가격 상승이 당분간은 매매가격을 견인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덧붙였다. 그는 "분양 중인 명지오션시티 삼정그린코아 113㎡도 웃돈이 500만 원 정도 형성돼 있지만, 거래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화명롯데캐슬카이저입주로 인해 영향을 받고 있는 북구 화명동 소재 신도시공인 곽미숙 소장은 "대림쌍용강변타운 115㎡가 매매가격이 한때 3억 4천만 원 이상까지 거래가 됐지만, 현재는 3억 1천만 원 정도이고, 전세 가격도 롯데에 입주하려는 수요 때문에 2억 2천만 원에서 1억 8천만 원까지 내렸다"고 설명했다.
그는 "하지만 화명동은 주변에서 인구가 계속 유입되는 지역이고, 롯데캐슬카이저의 입주가 60%가량 진행되었고 남은 물량도 대형뿐이어서 입주 충격이 정리되면 다시 시장은 회복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상구의 대표적 주거지역인 엄궁동에 소재한 엄궁롯데캐슬공인 김희미 소장은 "전세는 엄궁동에서 물량이 2개밖에 없을 정도로 귀하지만, 매물은 입주 2년이 지나면서 증가하고 있다"면서 "이는 매도자들이 집값 하락을 염두에 두고 전세를 놓기보다 매매를 하려 하고, 기존 세입자들도 움직이질 않아서 전세 부족현상은 여전하다"고 설명했다.
엄궁롯데캐슬 108㎡는 현재 시세가 2억 9천만~3억 원 정도이지만, 시세보다 2천만~3천만 원가량 싼 급매물만 찾고 있어 거래가 안 되고 있다는 것. 하지만 사상구는 다른 지역과 달리 분양 물량이 없고, 강서구 출퇴근 직장인들이 선호하는 지역이기 때문에 회복 가능성은 높다는 것이다.
사하구 다대동 롯데공인 김영환 소장은 "롯데캐슬몰운대 109㎡는 상승기에 2억 5천만 원까지 거래가 됐지만, 현재는 2억 3천만 원 정도에 시세가 형성돼 있다. 다대동은 다른 지역보다 가격이 낮아 수요가 꾸준한 편이었는데 올해부터는 시세보다 1천만~2천만 원 정도 낮은 물건만 찾는 손님이 대부분이어서 거래가 쉽지 않다"고 전했다. 하지만 전세는 이 아파트가 3천400가구의 대단지인데도 불구하고 2개 정도밖에 나오지 않을 정도로 귀하다고 그는 밝혔다.
부동산114 이영래 부산지사장은 "서부산권이 올해 전체적으로 가격이 하락하면서 집 소유자는 매도를 원하지만 매수자는 없는 '거래 실종' 상태에 빠졌다"면서 "올해 말까지 강서구를 중심으로 대량 신규 분양이 이뤄지기 때문에 이들 단지 대기 수요까지 가세해 매량은 많으나 거래는 되지 않고, 전세는 물건이 부족해 일부 지역에서 전세난이 빚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